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rackdown on Non-standard Mandarin
  • Crackdown on Non-standard Mandarin Distribution This is a mandarin sorting facility in Jeju City. Local police carefully inspect the oranges sorted by size in the container boxes. In response to the mandarin orange shipping season, they are inspecting non-standard mandarin orange distribution activities. They randomly pick a few oranges from the boxes and measure the sugar content using a sugar content meter. Recording Lee Yong-jun / Investigator at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As you can see, it shows a sugar content of 10 Brix, and since anything above 8.5 Brix is considered normal, we believe there is no issue here. In the past four years, excluding 2022, there have been a total of 56 cases of non-standard mandarin orange distribution detected by the Jeju Provincial Police. Among these, 48 cases were due to the distribution of non-standard mandarin oranges, with the amount detected exceeding 23 tons. Additionally, there have been cases where unripe fruits were forced to ripen using chemicals or where quality inspections were not adequately conducted. This year, frequent rain and high temperatures have led to a decrease in yield, with damages such as cracked skin, further reducing production. With reduced production, prices are expected to rise compared to last year, but quality control is key to maintaining favorable prices. To prevent a general price decline due to the distribution of non-standard mandarins in the early shipping season, local police are intensifying their crackdown on non-standard mandarin distribution. Through inspections of orchards and sorting facilities, they aim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mandarins that lack commercial value, such as those with low sugar content. They also plan to verify products directly in wholesale markets, including Seoul’s (가락동) Garak-dong Agricultural Market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to identify distributors of non-standard mandarins. INTERVIEW Park Tae-eon / Head of the Special Investigation Team,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With the ordinance amendment, as long as the sugar content standard is met regardless of size, we will focus on that in our inspections. If non-standard mandarins are distributed, the price of mandarins will fall, which ultimately harms mandarin farmers, so we plan to respond actively. Along with this, they plan to strengthen patrols at major checkpoints on local roads to crack down on false labeling of the fruit’s origin. 감귤 출하기…상품외 감귤 유통 단속 강화 제주시내 한 감귤 선과장입니다. 자치경찰이 컨테이너 박스에 크기별로 분류된 귤을 꼼꼼히 살펴봅니다. 노지 감귤 출하시기를 맞아 상품외 감귤 유통 행위 점검에 나선겁니다. 박스에서 무작위로 몇 개를 골라내고 당도측정기를 이용해 당도를 확인합니다. <싱크 : 이용준 / 제주도자치경찰단 수사관> 지금도 보시면 (당도가) 10 브릭스가 나오는 걸로 봐서 8.5 브릭스 이상이면 정상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2년을 제외한 최근 4년 사이 제주자치경찰이 적발한 상품외 감귤 유통 건수는 모두 56건. 규격에 맞지 않는 등 상품 외 감귤을 출하한 경우가 48건으로 가장 많았는데, 적발된 양은 23톤을 넘습니다. 이 외에도 약품 등을 이용해 덜 익은 열매를 강제 착색하거나 품질검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올해는 잦은 비와 높은 기온으로 인해 착과량이 줄어들고, 껍질이 터지는 열과 피해가 발생하면서 생산량이 줄어든 상황.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가격은 지난해보다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가격 호조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품질 관리가 관건입니다. 출하 초기 상품외 감귤이 유통되면, 이후 전반적인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자치경찰이 상품외 감귤 유통 행위 집중 단속에 나섭니다. 도내 과수원과 선과장 점검을 통해 당도 미달 등 상품성이 떨어지는 감귤 유통을 차단하고, 서울 가락동 농산물시장과 인천 등 수도권 도매시장에서도 직접 상품을 확인해 상품외 감귤 유통 업체를 적발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 박태언 / 제주자치경찰단 기획수사팀장> 조례가 개정되면서 이제 크기와 상관없이 당도 기준을 넘으면 되기 때문에 저희가 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점검을 할 거고요. 상품 외 감귤이 유통되게 되면 감귤 값이 하락하고 결국에는 감귤 농가들이 피해를 입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도내 주요도로 거점 순찰을 통해 감귤 원산지 허위 표시 행위에 대해서도 단속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 2024.11.11(mon)  |  이현
  • Jeju Expands Benefits for Donation Participants
  • Jeju is offering special benefits for individuals who have donated to the Hometown Love Program for two or more consecutive years. With an annual donation of over 100,000 KRW, donors can receive free or discounted admission to 33 public tourist sites, as well as for their companions. For two consecutive years of donations, one companion is included; for three years, two companions; and for four years, up to three companions can join. Companions can accompany donors regardless of family relationship. In September, Jeju received the top award at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s inaugural Hometown Love Donation Best Practices Competition. 제주 고향사랑기부 연속 참여 혜택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2년 이상 고향사랑 기부자를 위한 특별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10만원 이상 연속 기부하면 도내 공영관광지 33개소에 대한 무료 또는 할인혜택을 동반자로 확대합니다. 2년 연속은 동반자 1인, 3년 연속은 동반자 2인, 4년 연속은 3명까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동반자는 가족관계와 무관하게 함께 방문하는 대상으로 적용합니다. 제주도는 지난 9월 행안부 주관의 제1회 고향사랑기부제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Free Transport Service for Disabled Test-Takers
  • The province will provide transportation services for disabled students expected to take the 2025 college entrance exam on November 14. This transport service, available from 6 a.m. to 8 p.m. on exam day, will be offered to test-takers who use wheelchairs or have severe disabilities. Pre-registration is required between November 11 and 13. The service will be limited to routes between student’s homes and testing sites. 수능일, 교통약자 시험장 무료 이동서비스 지원 제주특별자치도가 오는 14일 실시되는 2025학년도 대학수능과 관련해 교통약자 수험생을 위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중증장애인 등 휠체어를 이용하는 수험생에게 수능 당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무료 이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사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지원 구간은 자택과 시험장간 이동으로 한정됩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Police Implement Horse Care Program
  • The Jeju Self-Governing Police Agency is enhancing its management of the mounted unit’s horses, addressing previous concerns. A new horse care program has been introduced, involving periodic health checks and adjustments to feed based on individual needs. Euthanasia will be minimized, with efforts focusing on transferring horses to other institutions free of charge. Additionally, a retirement plan will be implemented for horses unable to continue their duties. 자치경찰단, 마필 책임제 도입…안락사 지양 제주도자치경찰단이 일부 논란이 됐던 기마대의 마필 관리를 개선합니다. 마필 책임제를 도입해 매일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개별 운동량에 따른 급여량을 조정합니다. 안락사는 최대한 지양하고 대신 다른 기관으로의 무상양여를 우선 추진합니다. 또 제주도가 추진중인 퇴역 경주마 휴양목장 조성사업과 연계해 임무 수행이 어려운 마필을 위한 은퇴 대책도 시행합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School Cafeteria Worker Got Lung Cancer
  • The Jeju branch of the National School Staff Union announced that a school kitchen assistant who worked at elementary and high schools in Jeju for 14 years, was diagnosed with Stage 1 lung cancer. They claimed this was due to prolonged exposure to harmful gases or particles, known as cooking fumes, which are classified as carcinogens released during cooking. The union emphasized that the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should recognize A’s case as an industrial accident. Additionally, the union called for extended health investigations for school cafeteria workers and urged improvements to ventilation in school kitchens. 제주 첫 급식종사자 폐암 진단…산재 인정해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제주지부는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4년동안 도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조리실무사로 근무했던 A씨가 지난 달 폐암 1기로 확진됐다며 이는 요리할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 또는 입자이자 발암물질로 알려진 조리흄에 오랜시간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따라 근로복지공단은 A씨에 대해 산업재해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현재 부분적으로 이뤄지는 학교 급식 종사장에 대한 건강 검진을 확대하고 급식실 환기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87% Support for Car Free Event
  • On the 28th of last month, the results of a resident evaluation meeting on the “Car-Free Street Walking Event” showed that the majority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event. According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87% of the 53 resident participants at the meeting said the event was necessary. Regarding the location, major downtown roads ranked the highest at 32.7%, followed by coastal roads at 12.7%. Other issues identified included reducing inconvenience caused by traffic control, addressing a lack of facilities, and resolving negative public opinion. Jeju Province plans to review various alterna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meeting '차없는 거리 걷기 행사' 도민 평가단 87% "필요" 지난달 28일 차없는 거리 걷기 행사에 대한 도민 평가회의 결과 대다수가 행사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당시 평가회에 참석한 도민참여단 53명 가운데 87%가 행사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행사 장소와 관련해서는 도심권 대로가 32.7%로 가장 높았고 해안도로 12.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 차량통제에 따른 불편 감소와 편의시설 부족, 부정적 여론 해소 등은 해결 과제로 꼽혔습니다. 제주도는 이번 평가회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Tangerine Output Drops in 2024
  • Unusual weather has increased heat damage, pushing this year’s open-field tangerine yield below initial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is year’s open-field tangerine production is expected to reach 378,000 tons, a 6.8% decrease from last year. This estimate is approximately 30,000 tons lower than the early September forecast of 408,000 tons from the Jeju Citrus Survey Committee and the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Institute. The institute cites reduced cultivation area, cyclical fluctuations in the Seogwipo region, and worsening heat damage as key factors behind the lower yield.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37만 8천톤으로 감소 이상기후 여파로 열과 피해 등이 확산하면서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당초 전망치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이달 농업관측정보에 따르면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은 37만 8천여톤으로 전년 대비 6.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제주도 감귤관측조사위원회와 제주도농업기술원이 지난 9월 초 내놓은 예상 생산량 40만 8천여톤보다 3만톤 가량 줄어든 전망치입니다. 연구원은 재배면적 감소와 서귀포시 지역 해거리, 열과 피해 발생으로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Controversial Garage Policy Goes to Court
  • Controversial Garage Policy Goes to Court Jeju’s unique parking certification system is now in its seventeenth year. Critics have argued that the original goal of controlling vehicle growth has not been achieved, and instead, the policy has led to more side effects than benefit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its abolition. In light of the present situ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assess the parking certification policy's compliance with constitutional principles. A local civic organization known as "Making Jeju A Better Place to Live" (살기 좋은 제주도 만들기) has declared its intention to file a constitutional complaint. Their argument is that the current parking certification system violates the rights of citizens. They argue that the policy requiring individuals to own a parking space before purchasing a vehicle violates basic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group asserts that the policy violates two articles of the constitution: Article 14, which guarantees freedom of residence and movement, and Article 23, which safeguards property rights. Furthermore, they demand a public discussion in Jeju, arguing that the policy disproportionately affects citizens who lack secure housing. In addition to filing a constitutional complaint, the group has run a petition since September 22nd. Their efforts have garnered over 2,000 signatures, reflecting widespread support for this cause. INTERVIEW Heo Min-ho / President, ‘Making Jeju A Better Place to Live’ It infringes basic rights to prohibit someone from purchasing a car with their own money simply because they don’t own a home or parking space. The province expressed confidence in the legality of their policy, saying that a thorough legal review had been conducted prior to its enactment. They added that they have been studying relevant documents in anticipation of a potential constitutional challenge. Separately, the province has said that research to help improve the parking certification system is ongoing and that it will continue as scheduled through the end of the year. '폐지 논란' 차고지증명제 결국 헌법소원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차고지 증명제. 도입된 지 17년째에 접어들었지만 차량 증가 억제라는 정책 취지 보다 부작용이 많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폐지를 요구하는 여론이 커지는 상황. 이런 상황에서 차고지증명제 정책이 헌법재판소로부터 위헌 여부를 심판받게 됐습니다. 도내 민간단체인 '살기좋은제주도만들기'는 차고지증명제가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헌법소원을 청구를 예고했습니다. 차고지를 소유하고 있어야만 차량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 정책이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겁니다. 구체적으로는 헌법 제14조 거주이전의 자유와 제23조 재산권 침해를 주장했습니다. 더욱이 무주택 서민들에게는 가혹한 정책이라며 제주도에 공개 토론회를 요구했습니다. 단체는 헌법소원 절차 돌입과 함께 지난달 22일부터 도민들을 대상으로 차고지증명제 폐지를 위한 서명 운동을 벌여 2천여 명의 서명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 허민호 / 살기좋은제주도만들기 회장> 자기 돈을 가지고 자기 차를 사는데 단지 내 집이 없고 내 주차장이 없다고 "너 차 사지마, 못 사"하고 강제하는 것은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 입니다. 제주도는 정책을 시행하기 앞서 법률적 검토를 마친 사안인 만큼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라면서 현재 헌법소원 절차에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현재 제주도가 제주도가 추진중인 차고지증명제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연구 용역은 올해 말까지 정상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2024.11.07(thur)  |  이현
  • Jeju‘s Value Integrated Online Service Begins
  • The Province will launch the Jeju Value Integrated Care online service called ‘Dolbom’ through its website starting this November. Jeju’s integrated ‘Dolbom’ program offers support for housekeeping, meal assistance, and emergency care services for all residents in need. So far, 2,700 people have applied for Jeju Value Integrated Care. (Jeju’s Integrated ‘Dolmbom’ Service can be found at www.jeju.go.kr/is/jejudolbom-home/.) 제주가치 통합돌봄 온라인 서비스 시작 제주특별자치도가 이달(11월)부터 제주가치 통합돌봄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제주가치 통합돌봄은 도민 누구나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으며 가사 지원과 식사 지원, 긴급 돌봄 등 3가지에 대해 이뤄집니다. 지금까지 제주가치 통합돌봄 신청자는 2천 700여명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 2024.11.04(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