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Use Edu Support Card by Year-End
  • Jeju is urging recipients to use up the remaining balance on their "Jeju Dream Bada" Education and Culture Cards before the end of the year. The Education and Culture Card provides annual financial support to low-income families and youth, including basic livelihood recipients and those in the second-lowest income bracket. The card offers 300,000 KRW for elementary, 400,000 KRW for middle school, and 500,000 KRW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ard can be used at over 200 affiliated merchants, including local bookstores, extracurricular academies, study rooms, and online courses. Jeju now sends weekly balance updates and contacts low-usage recipients to remind them of the deadline. 제주꿈바당 교육문화 카드 연말까지 사용해야 제주도가 제주꿈바당 교육문화카드의 연말 사용기한 만료를 앞두고 잔액 사용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제주꿈바당 교육문화카드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청소년에게 연간 초등학생 30만 원, 중학생 40만 원, 고등학생의 경우 50만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역서점이나 예능계열 학원, 독서실, 온라인 강의 등 200여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카드 사용 활성화를 위해 잔액 문자 알림을 주1회로 확대하고 이용이 저조한 대상에게 유선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Jeju Prepares for Winter Snow Season
  • Jeju has designated the winter road snow removal period from December 1 to March 15 and has developed various measure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winter weather. Measures include pre-deploying snow removal equipment, using snow detection systems, increasing road patrols, and coordinating closures through a unified system with relevant agencies. The province will add 14 private snow removal vehicles to its fleet of 32 for key roads like Pyeonghwa-road and 5.16 Road. Jeju secured 9,500 tons of salt and calcium chloride, exceeding standard reserves, to ensure a stable winter supply. 겨울철 도로 제설 대응책 마련…장비 추가 확보 제주특별자치도가 다음달 1일부터 3월 15일까지를 겨울철 도로 제설 기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합니다. 기상예보에 따른 제설장비 사전 배치와 적설감지 시스템 운영, 도로 순찰 강화, 도로 통제 등 유관기관과 함께 일원화된 대응체계를 구축합니다. 특히 자체 보유 제설장비 32대에 더해 민간장비 14대를 추가 확보하고 평화로와 5.16도로 등 주요 도로의 제설작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행정시와 읍면의 제설제 부족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비축 기준을 초과한 9천 500톤의 소금과 염화칼슘을 확보해 놓고 있습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Strengthening HPAI Control
  • Seogwipo City is intensifying its efforts to prevent the spread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following recent outbreaks in other regions. The city has enhanced biosecurity measures by closing poultry farm entry points without disinfection, banning free-range farming, restricting vehicle access, and urging farmers to adopt self-regulated practices. Seogwipo City also plans to take action against poultry farms with inadequate biosecurity management, including guidance and fines, under relevant laws.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차단 방역 강화 서귀포시가 최근 다른 지역의 잇따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차단방역 활동을 강화합니다. 이에따라 소독시설이 없는 축사의 부출입구를 폐쇄하고 방사 사육 금지, 출입차량 통제 등 방역 강화와 함께 농가 자율 차단 방역을 당부했습니다. 서귀포시는 방역관리가 미흡한 가금사육농가에 대해서 관련법에 따라 지도와 과태료 부과 등 조치할 계획입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Jeju Strengthens Sexual Misconduct Response
  • The Province has decided to strengthen its response to incidents of sexual misconduct within its organization. The province amended its regulations on sexual harassment,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to create a system for safeguarding stalking victims. By clearly defining procedures for victim counseling and establishing dedicated support channels for stalking incidents, Jeju has ensured that immediate and systematic measures can be taken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sexual misconduct. Jeju plans to continue efforts to improve gender equality awareness within the public sector and implement ongoing reforms aimed at preventing sexual harassment and violence. 조직 내 성비위 대응 강화…스토킹 보호 포함 제주특별자치도가 조직 내 성비위 사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최근 성희롱.성폭력과 2차 피해 예방 규정을 개정해 스토킹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스토킹 사건 발생에 따른 상담창구 운영과 피해 상담 신청 절차를 명문화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성비위 사건에 즉각적이고 체계적인 조치가 가능하게 됐습니다. 제주도는 공직 내 성평등 인식 개선과 성희롱.성폭력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Jeju Air Eases Discount Confirmation Procedure
  • Jeju Air will streamline boarding for passengers eligible for identity-based discount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veterans, independence activists, 4.3 Uprising survivors, and Jeju residents. Previously, passengers with these discounts were required to present proof of eligibility every time they boarded. With the new system, they can now use a mobile boarding pass without extra documentation. For their first flight, passengers must present proof of eligibility at the check-in counter. Afterward, no further verification is required during the validity period. 제주항공, 신분할인 대상 탑승절차 간소화 제주항공이 장애인과 국가유공상이자, 독립유공자, 4.3생존희생자와 제주도민 등 신분할인 대상자들의 탑승 절차를 간소화합니다. 신분 할인을 위해 항공기를 탑승할 때마다 증빙서류를 확인받아야 했던 절차를 없애 추가 증빙 없이 모바일 탑승권을 즉시 발급받을 수 있도록 개선합니다. 최초 탑승할 경우에만 신분 관련 증빙서류를 수속 카운터에 제출하면 유효 기간동안 추가 확인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Jeju Education's Rising Disability Employment Fees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facing an increase in employment burden fees, due to failure in meeting the mandatory employment ratio for disabled individuals, prompting calls for countermeasures. Kim Kyung-hak (김경학), of the Jeju Provincial Council's Education Committee revealed that the Jeju Education Office faces a 1.5 billion KRW employment burden fee this year for not meeting the legal hiring rate for disabled individuals, with the amount expected to rise to 1.7 billion KRW next year. The Education Office explained that it has been hiring disabled individuals under the mandatory employment system but faces shortages in the teaching and public service sectors. It plans to take steps to boost recruitment. "도교육청 장애인 고용부담금 증가세…대책 필요" 제주도교육청이 장애인 의무 고용 비율을 채우지 못해 내야하는 고용 부담금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경학 의원은 내년도 도교육청 예산안 심사에서 장애인 고용률 법정 기준 미달로 올해 제주도교육청이 내는 고용부담금은 15억원이며 내년에는 17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교육청은 장애인 의무고용제에 따라 일정 인원을 장애인으로 선발하고 있지만 교직 분야와 공무직에서 미달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장애인 채용 확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Extra Delivery Fee Support Ends Soon’
  • ‘Extra Delivery Fee Support Ends Soon’ The province’s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program, launched in earnest this year following last year's pilot program, aimed to increase participation by simplifying the application process and extending support to include outgoing parcels. Despite a rise in participation from 2023, this year's program again saw a significant portion of its budget go unused due to a lack of applicants. In the nine months since March, the program has received around 630,000 applications and distributed a total of 2.064 billion won in financial assistance. However, only 31% of the 6.5 billion won budget has been spent. The remaining 4 billion won will be returned to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province. When the Ministry planned this program, the budget was based on Jeju’s population and parcel usage. However, subsidies did not apply to certain parcels, like those shipped through Korea Post. Additionally, some companies offered free shipping to island destinations. These factors reduced the number of eligible recipients for the subsidy. Due to low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2025 budget for Jeju’s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has been reduced to 2.56 billion won, one-third of this year’s budget. The province has said it is actively advocating for national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o expand the eligibility criteria from individuals to small business owners. INTERVIEW Kim Yong-seok / Representative, Jeju Province Currently, only individuals are eligible for support. We are continuously negotiating wit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the National Assembly to expand the eligibility to include small business owners. The additional delivery fee support program for this year will end on December 20th. The province is urging residents who have not yet appli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online or through local community centers. "추가배송비 신청 서두르세요"…40억 '불용' 지난해 시범 사업에 이어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된 택배 추가배송비 사업. 시범 사업 당시 저조했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보내는 택배도 지원되도록 개선됐습니다. 지난해보다 늘긴 했지만 올해 신청자도 예상치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때문에 올해도 많은 사업비를 반납하게 됐습니다. 올해 3월부터 9개월 동안 접수된 추가배송비 지원 신청은 약 63만 건으로 모두 20억 6,400만 원이 지원됐습니다. 전체 예산 65억 원 가운데 집행률은 31%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쓰지 못한 나머지 40억 원은 해수부와 제주도로 각각 반납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해수부는 처음 사업을 계획할 당시 제주도 인구와 택배 이용 건수를 바탕으로 예산을 책정했지만 우체국 택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데다 섬지역도 무료 배송을 시행하는 일부 업체로 실제 지원 대상은 축소됐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내년 제주지역 택배 추가배송비 예산은 올해의 3분의 1 수준인 25억 6천원 만 편성됐습니다. 제주도는 추가배송비 지원 대상을 개인에서 소상공인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해수부 등 중앙 부처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 김용석 / 제주특별자치도 통상물류과장> 현재 지원 대상자가 개인 밖에 지원이 안되는데 소상공인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되도록 해수부, 기재부, 국회 등 중앙부처에 계속해서 건의 절충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 사업은 다음 달 20일로 종료됩니다. 제주도는 아직 신청하지 않은 도민들에게 온라인이나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추가배송비 지원금을 신청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4.11.21(thur)  |  이현
  • Jeju Releases 100 Endangered Beetles
  • Jeju Technopark has recently released 100 endangered dung beetles, a species classified as "Class 2 Endangered Wildlife," into the wild in Namwon-eup (남원읍). The release site, a habitat restoration area in Shinrye-ri (신례리), was chosen for its excellent ecological environment, which provides optimal conditions for the beetles, with many insect species that feed on animal droppings. Jeju Technopark has previously released three endangered species, including the two-spotted stag beetle, giant water beetle, and dung beetles, as part of 25 habitat restoration projects aimed at preserving local wildlife. 멸종위기 애기뿔소똥구리 100개체 자연 방사 제주테크노파크가 최근 남원읍 신례리 공동목장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애기뿔소똥구리 100개체를 방사했습니다. 서식지 복원장소인 신례리 공동목장은 생태환경이 우수하고 방목지가 있어 동물의 배설물을 먹이로 하는 곤충들이 다수 확인되는 등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돼 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테크노파크는 지금까지 25차례의 서식지 복원을 위해 두점박이사슴벌레와 물장군 (Giant water beetle), 애기뿔소똥구리 등 3개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방사하고 있습니다.
  • 2024.11.18(mon)  |  이현
  • Jeju to Expand Art Storage
  • The expansion of Jeju’s cultural and artistic public storage facility, the first integrated storage facility by a local government, has passe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preliminary feasibility assessment. As a result, Jeju will begin the project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 The Jeju Culture & Art Public Art Storage Extension project, which will cost 11.5 billion KRW, aims to double the current capacity and is scheduled to open by December 2027. Built in June 2019, the Jeoji art storage facility currently operates at 93.6% capacity, highlighting the need for expansion. 제주도 문화예술공공수장고 시설 확충 탄력 지방자치단체 최초의 통합수장고인 제주도 문화예술 공공수장고에 대한 시설 확충사업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에 최종 통과됐습니다. 이에따라 제주도는 내년 상반기 중 행정안전부의 중앙투자 심사를 거쳐 수장고 증축사업을 본격 추진할 수 있게 됐습니다. 문화예술 공공수장고 확충사업은 사업비 115억원을 투입해 지금의 시설에서 두배 가량 늘려 2027년 12월 개관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6월 저지문화예술인마을에 지어진 제주도 문화예술 공공수장고는 현재 93.6%의 수장율을 보이며 시설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습니다.
  • 2024.11.18(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