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Political Turmoil Sends Jeju Tourism Into Crisis
  • Political Turmoil Sends Jeju Tourism Into Crisis Last week’s state of emergency declaration and a failed vote to impeach the president has prompted major countries to issue travel warnings for Korea. As a result, the Jeju tourism industry is now experiencing ripple effects. In particular, travel agencies are facing the reality of cancellations that were once only a concern. A local inbound travel agency specializing in attracting foreign tourists to Korea has reported individual traveler cancellations since the state of emergency began. PHONE INTERVIEW Wang Gyesong / Inbound Travel Agency CEO On average, we handle five FITs (Free Independent Travelers) per week, but since the emergency-related reports started gaining traction, that number has decreased by 2-3. Outbound travel agencies, which primarily focus on sending Korean tourists abroad, are also under pressure. The number of inquiries about the feasibility of traveling abroad is rising, although no cancellations have been directly attributed to the state of emergency at this time.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if the nation’s political turmoil continues into next year, mass cancellations could occur, starting with future bookings. PHONE INTERVIEW Outbound Travel Agency CEO Remember when President Park Geun-hye was impeached? Back then, all outbound trips were either postponed or canceled. If this situation drags on, the impact will be significant. Most customers have said they'll cancel if the instability continues until December. The Jeju Tourism Association has reported two cases of cancellations in both travel and accommodation businesses due to the state of emergency. INTERVIEW Kang Dong-hoon / Chairman, Jeju Tourism Association There have been cases of accommodation cancellations from countries like China and Taiwan, which are affecting Jeju as well. We're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to ensure the impact doesn't extend into the year-end peak season or the Lunar New Year holidays next year. As of now,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Jeju has reached 13 million, marking a 3.3%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While domestic tourists decreased by 6.4%,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nearly tripled, compensating for the decline. However, the current political turmoil and growing economic concern and anxiety could discourage bo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m. This will only deepen the struggles of Jeju's tourism industry, which is reliant on year-end business. "예약 취소 현실화" 제주관광 비상계엄 '불똥'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안 표결 무산까지 불안정한 정세가 이어지면서 세계 주요국은 한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잇따라 발령했습니다. 이로 인해 제주 관광업계에도 불똥이 튀고 있습니다. 특히 여행사를 중심으로 우려했던 예약 취소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주로 외국인의 국내 여행을 유치하는 도내 한 인바운드 여행사는 계엄 사태 이후 개별 여행객의 예약 취소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 왕계송 / 인바운드 여행사 대표> 평균적으로 저희가 일주일에 5개 FIT(개별 여행객)가 들어오는데 요즘은 (비상계엄 관련) 보도가 많이 되면서 2~3개가 줄어들었습니다. 한국인의 해외여행을 주력으로 하는 아웃바운드 여행업계도 비상이 걸리긴 마찬가지입니다. 아직 계엄 사태로 인한 취소는 없지만 여행 가능 여부를 묻는 문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정 혼란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내년 예약 건부터 줄취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 아웃바운드 여행사 대표> 박근혜 대통령 때 탄핵했었잖아요. 그때 나가는 게 전부 다 보류됐었어요 연기되거나. 여파가 상당히 커질 거예요 아마 이게 장기화되면. 12월까지 그게(정세 안정) 안 되면 취소하겠다는 내용들이에요 거의. 제주도관광협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계엄 사태에 따른 피해 상황을 파악한 결과 여행과 숙박업체에서 각 2건의 예약 취소 사례가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 강동훈 / 제주도관광협회장> 중국이나 대만 국가에서는 숙박 예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제주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연말 특수 시즌과 내년 춘절 연휴까지 여파가 미치지 않게끔 저희 관광업계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올들어 현재까지 제주를 찾을 관광객은 1천30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늘었습니다. 내국인 관광객이 6.4% 감소한 반면 외국인이 3배 가까이 증가하며 내국인의 빈 자리를 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계엄 사태로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 관광객들 또한 경제 위축과 불안 심리로 여행 자제 분위기가 확산될 수 있어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제주관광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 2024.12.12(thur)  |  이현
  • Jeju-NH Bank Launch Youth Loan
  • A new low-interest loan product, "Shining Jeju Youth Hope Loan," will be launched December 9. This product is a result of a partnership between Jeju Province and NH Nonghyup Bank’s Jeju branch, aimed at addressing wealth inequality among young people using a financial inclusion fund. The loan is available to young workers residing in Jeju with an annual income of 45 million KRW or less. Each eligible individual can borrow up to 10 million KRW, with a repayment period of up to 3 years. The interest rate support will be differentiated based on personal credit ratings, offering a subsidy ranging from 2.5% to 3.5%. '제주도-NH농협' 청년 저금리 대출 상품 출시 청년 저금리 대출상품인 '빛나는 제주 청년 희망 대출'이 오는 9일 출시됩니다. 제주도와 NH농협은행 제주본부가 업무협약을 맺고 출시하는 상품으로 청년 세대 자산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금융포용기금을 활용한 상품입니다. 대출 대상은 제주에 주소를 둔 청년 가운데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근로자로 1인당 최대 1000만원까지 대출 가능하며 상환 기간은 최대 3년입니다. 개인 신용등급에 따라 2.5%에서 3.5%의 이차보전을 차등화해 지원됩니다.
  • 2024.12.09(mon)  |  이현
  • "Use Senior Taxi Subsidy by December 31"
  • Jeju Province is urging senior citizens to use their “Senior Happy Taxi” subsidy by the end of this year, as it will automatically expire on December 31. Unused balances will not carry over to the next year, and the subsidy cannot be transferred or lent to family members or others. As of last month, an average of around 4,000 seniors are using the “Senior Happy Taxi” service daily, with usage steadily increasing. "어르신 행복택시 지원금 연내 사용해야" 제주특별자치도가 어르신 행복택시 지원금이 오는 31일로 자동 소멸된다며 올해 안에 사용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이월되지 않고 본인 이외에 가족이나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도 할 수 없습니다. 어르신 행복택시는 지난달 기준으로 하루 평균 4천여 명이 이용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2024.12.09(mon)  |  이현
  • Winter Heating Fires: Caution Urged
  • As the weather grows colder, special caution is being urged regarding fire accidents caused by hea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ire and Safety Headquarters, there have been over 100 heating-related fire incid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se incidents resulted in 6 injuries and approximately 600 million KRW in property damage. Electric heating devices accounted for about 40% of the total fires, followed by wood-burning heaters and home boilers. More than half of the fires were attributed to negligence. The fire authorities plan to issue an early heating equipment fire warning and strengthen safety measures. 겨울철 난방용품 화재 사고 '주의' 당부 날씨가 추워지면서 난방용품 화재 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동안 발생한 난방용품 화재 사고는 100여 건으로 이로 인해 6명의 인명피해와 6억 원 가량의 재산 피해가 났습니다. 전기 난방용품 화재가 전체의 40% 가량으로 가장 많았고 화목 난방용품, 가정용 보일러 화재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화재 사고의 절반 이상이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소방 당국은 난방용품 화재 주의보를 조기에 발령하고 안전 관리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 2024.12.09(mon)  |  이현
  • Korea’ Sea Temperature Highest in 10 Years
  • This year,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s waters during the autumn was the highest in the past decade. According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s waters was 23.6°C, while the southern sea near Jeju recorded 24.6°C, 2.5°C higher than the 10-year average and the highest in the past decad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explained that the higher sea surface temperatures contributed to warming the surrounding air, which amplified the increase in temperatures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fall. 우리나라 해수면 온도 최근 10년 중 가장 높아 올해 우리나라 해역의 가을철 해수면 온도가 최근 10년 중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역의 가을철 해수면 온도는 23.6도, 제주 인근 해역이 포함된 남해의 가을철 해수면 온도는 24.6도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2.5도 높았고 최근 10년 중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기상청은 높은 해수면 온도의 영향으로 주변 대기의 공기가 데워지면서 가을철 우리나라의 기온 증가 효과를 더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4.12.09(mon)  |  이현
  • Jeju Sees Record Temperatures & Rain
  • Last autumn, Jeju experienced the highest temperatures on record, with prolonged early autumn heatwaves, and saw more rainfall than usual. According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average temperature in Jeju last fall was 21.2°C, which was 2.7°C higher than the average and marked the highest on record. Both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24.3°C) and the average minimum temperature (18.4°C) were over 2°C higher than normal, setting new all-time highs. A high-pressure system over the surrounding region led to intense sunlight, and warm air flowing from the south caused a significant rise in temperatures. Meanwhile, rainfall during the fall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wo heavy rainfalls and frequent rain in October. The total rainfall reached 555.8mm, which is 183.1mm more than the average, and the number of rainy days was 39.3, the second-highest on record. 지난 가을 역대 가장 높은 기온…강수량도 많아 지난 가을철 제주지역은 초가을 폭염 등이 이어지면서 역대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고 강수량도 평년보다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가을철 제주도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2.7도 높은 21.2도로 역대 1위를 기록했습니다. 평균 최고기온과 평균최저기온 역시 각각 24.3도와 18.4도로 평년보다 2도 이상 높아 관측 이래 가장 높았습니다. 가을철 우리나라 주변 상공에 고기압성 흐름이 형성되면서 강한 햇볕의 영향을 받았고 남쪽에서 유입된 따뜻한 공기로 기온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편 가을철 강수량은 두차례 많은 비와 10월의 잦은 비로 인해 평년보다 183.1mm 많은 555.8mm를 기록했고 강수 일수는 39.3일로 역대 2위 기록을 세웠습니다.
  • 2024.12.09(mon)  |  이현
  • Jeju City Limits Business License for Tax Delinquents
  • Jeju City will impose restrictions on business licenses for individuals who have failed to pay local taxes more than three times without justifiable reasons. This action targets 44 individuals who have outstanding tax debts of over 1 million KRW each, with a total delinquent amount reaching 400 million KRW. In response, the city plans to request the relevant licensing departments to revoke their business licenses. Additionally, Jeju City is considering further severe administrative measures, including travel bans and detention, and urges prompt voluntary tax payment. 제주시, 고액 체납자 44명 관허사업 제한 조치 제주시가 정당한 사유 없이 지방세를 3회 이상 체납한 사업자들에 대해 관허사업 제한 조치를 실시합니다. 이번 조치는 체납액이 100만 원 이상인 44명으로 체납 총액은 4억 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해당 인허가 부서에 관허사업 취소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출국금지와 구금 등 추가적인 강력한 행정제제를 검토하고 있다며 신속한 세금 자진 납부를 당부했습니다.
  • 2024.12.09(mon)  |  이현
  • Exploring Jeju Women's Legacy
  • Exploring Jeju Women's Legacy Jeju, known as the birthplace of the (갓) gat,the traditional Korean hat,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ools used to produce yangtae (horsehair hat brims), tanggeon (headbands), and manggeon (hair ties) remain as precious relics of Jeju. Young women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crafting goods using horsehair, a Jeju specialty. Since these goods were distributed nationwide, the task was mainly undertaken by women in coastal areas. In contrast, agriculture was the primary livelihood in Jeju’s mountain villages. A tool used for separating chaff from grains is on display. An exhibition showcasing the lives and tools of women from Jeju’s mountain and coastal villages is underway. This special exhibition, titled "Mountain Villages and Coastal Villages: The Lives of Jeju Young Ladies", has been organized by the Jeju (설문대) Seolmundae Women’s Culture Center. INTERVIEW Huh Jae-hyung / Jeju Seolmundae Women’s Culture Center In the case of coastal villages, livelihoods related to the sea are prominently displayed due to their proximity to the ocean. In mountain villages, agricultural livelihoods dominate because of the mountainous terrain. This is why we planned this comparative exhibition. Due to their diff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life in coastal and mountain villages also varied. Each community produced goods suited to its environment and exchanged them to meet mutual needs. This exhibition divides the diverse lives of Jeju’s villages into six themes based on their geographical features. More than 20 artifacts, photos, and videos related to women’s lives are on display, sourced from the Seolmundae Women’s Culture Center’s collection. This exhibition, which offers a glimpse into Jeju’s traditional folk life and the past lives of Jeju women, will run until March 2nd of next year. '산간마을·해안마을 여성들의 삶' 조명 특별전 조선시대 모자 갓을 생산하는 본 고장이었던 제주. 양태와 탕건, 망건을 제작했던 기구가 소중한 제주의 유물로 남아있습니다. 제주 특산품인 말총을 활용한 물건을 만드는 일은 젊은 여성들의 몫이었습니다. 물건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갔기 때문에 주로 해안지역 여성들이 이같은 일을 했습니다. 반면 제주 산간지역에서는 농사가 주로 이뤄졌습니다. 곡물의 쭉정이를 골라냈던 기구가 전시돼 있습니다. 제주 산간마을과 해안마을 여성들의 삶과 도구들을 선보이는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제주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마련한 특별기획전 '산간마을, 해안마을 : 제주 큰애기들의 삶'입니다. <인터뷰 : 허재형/제주도 설문대여성문화센터> 해안마을의 경우 바다가 가깝기 때문에 물질과 관련된 생업의 모습을 많이 보이고 있고, 산간마을의 경우 산간지역이기 때문에 농사와 관련된 생업의 모습을 주로 보이고 있어서 비교하는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지리적 특성이 달랐던 해안과 산간마을은 삶의 모습도 달랐습니다. 각자 환경에 맞는 것들을 만들어내고 서로 부족한 것을 주고받으며 살아왔습니다. 이번 전시는 지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제주 마을의 삶을 6개의 주제로 나눠 구성하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삶을 주제로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물과 사진, 영상 등 20여 점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제주 민속의 모습을 만나보고 과거 제주 여성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내년 3월 2일까지 이어질 예정입니다.
  • 2024.12.09(mon)  |  이현
  • Exhibition of Children in War
  • The Jeju 4.3 Peace Foundatio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a museum in Bosnia have jointly organized the exhibition "Childhood Under the Siege", now on display at the Jeju 4.3 Peace Memorial Hall’s special exhibition room until May 6th of next year. The exhibition focuses on the lives of children in Sarajevo, Bosnia, who lived through the Siege of Sarajevo from 1992 to 1996. It showcases artifacts that represent the daily lives of children during the war. On display are a girl’s ballet shoes, record-setting war supplies, and a comic book shielding children from shrapnel, showcasing children's resilience during war. The Jeju 4.3 Peace Foundation expressed that the exhibition resonates with the childhood experiences of the 4.3 victims' families, emphasizing shared themes of suffering and recovery '전쟁을 겪은 어린이들의 이야기' 전시 개최 제주 4.3 평화재단과 서울역사박물관, 보스니아의 한 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전쟁을 겪은 어린이들의 이야기>전시가 내년 5월 6일까지 제주 4.3평화기념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지속된 포위전을 겪은 보스니아 사라예보 (seh· ruh·yay· vow) 어린이들의 일상을 재현하는 전시물을 선이고 있습니다. 발레리나를 꿈꾸던 소녀의 발레슈즈, 기네스 세계신기록에 오른 전쟁 지원품, 포탄으로부터 지켜준 만화책 등 당시 어린이들이 사용했던 물건들을 통해 전쟁의 고통을 회복해가는 어린이들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제주 4.3 평화재단은 이번 전시가 4.3 유족들의 어린시절의 삶과 맞닿아 있다고 의미를 밝혔습니다.
  • 2024.12.05(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