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eogwipo Continues 'Youth Care' Program
  • Seogwipo City will continue its "Youth Care Project" this year, identifying and supporting at-risk youth, young adults, and middle-aged individuals. Even for those in the youth and young adult age groups who receive public benefits like emergency welfare, many still face difficulties such as financial hardship. To address this, Seogwipo City uses funds from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to provide support for living expenses, medical bills, and caregiving costs. Last year, 28 households received assistance through this program. Seogwipo plans to continue building a strong welfare safety net by fostering public-private collaboration and implementing practical programs to support individuals facing crises. 서귀포시, 민관협력 '청춘 돌봄 사업' 지속 추진 서귀포시가 올해도 위기가구 청소년과 청년, 장년층을 발굴해 지원하는 '청춘 돌봄 사업'을 지속 추진합니다. 긴급복지 등 공적급여를 지원받아도 생계 곤란 등 어려움을 겪는 청장년층에 대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금을 활용해 생계비와 의료비, 간병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의 경우 28가구에 대해 지원이 이뤄졌습니다. 서귀포시는 앞으로도 위기 청장년을 지원하기 위해 민관이 협력해 촘촘한 복지 안전망을 구축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 2025.01.06(mon)  |  이현
  • Jeju Expands Housing Aid
  • Starting this year, Jeju will expand its housing support program for young and middle-aged workers employed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region. The program will now include not only full-time workers but also those on fixed-term contracts. Additionally, if a worker voluntarily leaves the job, the program will provide support for a replacement worker. Jeju will offer up to 400,000 KRW per month to SMEs in the province that either provide housing for workers or offer housing subsidies. 중소기업 근로자 주거 지원 기간제로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부터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도내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를 위한 주거 지원 사업을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지원 대상을 현재 정규직에서 기간제 근로자까지 포함합니다. 또 근로자가 개인 사유로 중도 퇴사하더라도 다른 근로자를 추가 지원할 계획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근로자에게 숙소를 임차해 제공하거나 주택보조금을 지원하는 도내 중소기업에 월 최대 40만 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5.01.06(mon)  |  이현
  • Jeju to Invest in Animal Welfare
  •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ll invest 32.8 billion KRW in animal health, hygiene, and welfare this year. Breaking it down by sector: - 16.2 billion KRW, the largest portion, will go towards animal disease prevention, including measures to block the entry of major infectious livestock diseases. - 9.9 billion KRW will be allocated to welfare projec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pet welfare center. - 5.9 billion KRW will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an animal hygiene testing facility. Jeju Province has outlined its policy plans and will accept applications from those wishing to participate in related subsidy programs until the end of this month. 제주도, 동물방역·위생·복지 분야 328억 원 투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동물방역과 위생, 복지 분야에 328억 원을 투자합니다. 분야별로 보면 사회재난형 악성 가축전염병 유입 차단 등 동물 방역 분야 투자가 162억 원으로 가장 많고 반려동물 복지센터 조성 등 복지분야 99억, 동물 위생 시험소 운영 59억 원 등입니다. 제주도는 관련 정책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이번달까지 보조사업 참여 희망자를 신청받습니다.
  • 2025.01.06(mon)  |  이현
  • Jeju Small Businesses Record Low
  • Due to the ongoing economic downturn and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small businesses in Jeju are facing a sharp decline in business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the Business Sentiment Index for small businesses in Jeju last month fell by 6.6 points to 44, the lowest among the 17 regions nationwide. This month's outlook index also dropped by 11.9 points, reaching 67.9, setting another nationwide low. Small business owners cited the main reasons for the negative outlook as a decrease in consumer confidence due to the economic slowdown, along with political factors such as martial law and impeachment. 제주 소상공인 경기 한파…지수 '전국 최저' 경기 침체와 불안정한 정세에 제주도내 소상공인 경기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지역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6.6포인트 하락한 44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이달 전망경기지수 역시 11.9포인트 떨어진 67.9로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소상공인들은 전망 경기가 악화된 주된 이유로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함께 계엄과 탄핵 등 정치적 요인을 꼽았습니다.
  • 2025.01.06(mon)  |  이현
  • MOF Targets Illegal Fishing Nets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outh Sea Fisheries Management Service and the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will be intensively collecting illegal set nets installed in Jeju waters. The MOF has been carrying out this collection operation since October of last year, particularly utilizing two 90-ton-class stow net fishing vessels that were decommissioned and refurbished for use in the dismantling efforts. Through this initiative, 13 set nets have been removed, and 4 tons of illegally caught fish were discovered on-site and released back into the sea. The MOF plans to secure an additional dedicated dismantling vessel this year and invest 3 billion KRW to continue the removal of abandoned and illegal fishing gear.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해수부, 우리측 해역 불법 어구 '범장망' 집중 수거 해양수산부 남해어업관리단과 한국수산자원공단이 우리측 해역에 불법 설치된 범장망 어구를 집중 수거합니다. 해수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수거사업을 진행중이며 특히 감척된 90톤급 안강망 어선 2척을 정비해 철거 현장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범장망 어구 13통을 철거했고 현장에서는 불법 조업한 어획물 4톤을 확인해 해상 방류했습니다. 해수부는 올해 철거 전용선을 추가 확보하고 예산 30억 원을 투입해 폐어구와 불법어구 철거사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화면제공 : 해양수산부 남해어업관리단
  • 2025.01.06(mon)  |  이현
  • Surge in Flu Cases: Highest Spike in Years
  • Surge in Flu Cases: Highest Spike in Years At an ENT clinic in Jeju City, patients wearing masks keep arriving. They visit the clinic with symptoms such as coughing or high fever. Many of them are diagnosed with the flu after testing. INTERVIEW Type A flu patient When I woke up this morning, my throat hurt, I had a fever, body aches, and felt like I was catching a cold, so I came here. Due to the ongoing cold weather, flu cases have sharply increased across the nation. According to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as of last week, the number of flu patients reporting sudden fever above 38°C, cough, or sore throat was 73.9 per 1,000 outpatient visits. This is the highest number in eight years since hitting a peak of 86.2 in 2016. Similarly, in Jeju, flu cases have exceeded national figures since the second week of December. Last week, the flu patient rate soared to 108.4 per 1,000 outpatients, about 1.7 times higher than the previous week. Flu cases are increasing across all age groups, with a sharp rise particularly in children and teenagers aged 7 to 18. As flu viruses become more active in colder temperatures, preventative measures like frequent handwashing are crucial. INTERVIEW Kim Yong-beom / Doctor, ENT Clinic Flu patients with symptoms such as sore throat, headache, fever, and progressing to systemic muscle aches, coughing, and sputum are increasing exponentially. We urge people with weaker respiratory systems to wear masks when going out and strictly maintain personal hygiene, such as handwashing.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flu expected to continue until spring, health authorities urge high-risk group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to get vaccinated promptly, as complications like pneumonia may arise. '콜록콜록'…제주 지역 독감 환자 급증 제주 시내 한 이비인후과. 마스크를 쓴 환자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기침이나 고열 등의 증상을 보이면서 병원을 찾은 겁니다. 검사 결과 독감으로 판정되는 환자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 A형 독감 환자> 아침에 일어났는데 목도 아프고 열나고 몸살기 있고 감기 (기운이) 있는 것 같아서 왔습니다. 최근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독감 환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38도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기침, 인후통 등을 호소하는 독감 환자는 지난주 기준 외래 환자 1천명 당 73.9명. 2016년 86.2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제주 지역 역시 12월 둘째 주부터 전국 수치를 웃돌기 시작하더니 지난주에는 독감 환자가 외래환자 1천 명 당 108.4명까지 치솟으며, 전주보다 1.7배 가량 늘었습니다. 모든 연령층에서 전체적으로 독감 환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7살에서 18살 사이 어린이와 청소년층 환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기온이 떨어지면 독감 바이러스의 활동이 더욱 활발해는 만큼 독감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인터뷰 : 김용범 / 000이비인후과 원장> 인후통과 두통, 발열 그리고 점차적으로 전신 근육통과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으로 발전하는 독감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호흡기가 약하신 분들은 마스크 착용을 하고 외출하시고요. 손 씻기 등의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 주시기를 당부드리겠습니다. 최근 독감이 급격히 확산하면서 봄까지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노인과 어린이 등 고위험군의 경우 폐렴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서둘러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고 보건당국은 당부했습니다.
  • 2025.01.06(mon)  |  이현
  • Resident Facilities Open in Daejeong
  • Resident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Global Education City, Daejeong-eup (대정읍), Seogwipo (서귀포), will begin full operation. Jeju announced that it has utilized unused space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building of the Global Education City to establish these resident convenience facilities. After two months of preparation, the facilities will officially open starting this year. The space includes a small library, a community room, and a clubroom, all of which will be open to the public except on holidays. In line with the area's high international population, Jeju Province has hired a new staff member with English conversation capabilities to manage and operate the facilities. 대정읍 영어교육도시 주민 편의시설 본격 운영 서귀포시 대정읍 영어교육도시에 마련된 주민 편의시설이 본격 운영됩니다. 제주도는 영어교육도시 공공청사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해 주민편의시설을 조성하고 두달간의 운영준비를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 곳에는 작은도서관과 커뮤니티룸, 동아리실이 마련됐으며 휴일을 제외하고 개방됩니다. 제주도는 외국인들이 많은 특성을 반영해 기본 영어회화가 가능한 시설운영 전담인력 1명이 신규로 채용해 배치했습니다.
  • 2025.01.02(thur)  |  이현
  • JNU Tops Employment Rate
  •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ranked first in employment rate among the 9 national flagship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2023 Employment Statistics for Graduat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cently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Jeju University recorded a 64.5% employment rate. Out of 1,680 eligible graduates, 1,083 secured jobs. Notably, Jeju National University saw the highest growth rate in employ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ecuring the top spot among the 9 national flagship universities. Jeju University’s employment rat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over the years: 55.1% in 2021, 56.6% in 2022, and 59.8% in 2023. 제주대 취업률 64.5%…거점국립대 9곳 중 1위 제주대학교가 전국 9개 국가거점국립대 가운데 취업률 1위를 기록했습니다. 최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에 따르면 제주대는 전체 취업대상자 1천680명 가운데 1천83명이 취업해 64.5%의 취업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년 대비 전국 최고 수준의 상승폭을 기록하면서 거점국립대 9개교 중 1위에 올랐습니다. 제주대의 취업률은 지난 2021년 55.1%, 2022년 56.6%, 2023년 59.8%로 매년 상승하고 있습니다.
  • 2025.01.02(thur)  |  이현
  • Jeju to Offer Fund for Sick Students
  • The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ill begin accepting applications for a support fund for students with chronic illnesses from the 6th. The program is available to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kindergartens through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who are suffering from conditions such as cancer, heart or cerebrovascular, diabetes, or rare diseases. Students who have had to defer or take leave from school for treatment are also eligible. The support offers up to 3 million KRW annually and can be used for online course fees, extracurricular academy fees, non-covered medical expenses, or living expenses for medical treatment in other regions. 난치병학생 지원금 6일부터 접수…최대 300만 원 제주도교육청이 난치병 학생들을 위한 지원금 신청을 6일부터 접수합니다. 대상은 유치원과 초.중.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암이나 심,뇌혈관, 당뇨,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난치병 학생들로 치료를 위해 학교를 유예 또는 휴학한 학생도 포함됩니다. 지원은 연간 최고 300만 원이며 온라인 수강료나 예체능 학원비, 또는 비급여 진료비, 다른 지방으로의 진료를 위한 체재비 등으로 쓸 수 있습니다.
  • 2025.01.02(thur)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