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Seogwipo Offers Youth Rent Support
  • Seogwipo City is now accepting applications for the Jeju Youth Hope Rent Support Program, aimed at reducing the housing burden for young adults. Eligible applicants must be non-homeowning youth aged 35 to 39 who reside in Seogwipo separately from their parents. They must also have a household income at or below 60% of the median income and total assets not exceeding 1.22 billion KRW.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at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eup, myeon, dong) or online via the Government website at www.gov.kr. Selected recipients will receive monthly financial support on the 25th of each month. 서귀포시, 청년 희망충전 월세 지원 접수 서귀포시가 청년층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제주 청년 희망충전 월세 지원사업' 신청을 받습니다. 지원 대상은 서귀포시에 주소를 둔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35살에서 39살 이하 무주택 청년으로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총 재산가액 1억 2천2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정부24 누리집에서 이뤄집니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매달 25일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 2025.02.20(thur)  |  이현
  • Expanding Youth Support Plan
  • The Province is expanding its Youth Dream Support Program to accommodate 2,500 participants this year. The program provides one-on-one personalized consultations to connect young adults with policies suited to their individual needs in housing, finance, education, welfare, and culture. Participants can receive financial support at each stage of the program. Unemployed youth may receive up to 600,000 KRW, while employed participants can receive up to 250,000 KRW. Those interested can apply by checking available consultation dates and locations through the Youth Dream Platform. 올해 청년이어드림 지원 2,500명으로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청년이어드림 지원사업 대상을 2천 500명으로 확대합니다. 청년이어드림은 1대1 맞춤형 상담을 통해 주거나 금융, 교육, 복지, 문화 등 개인별 상황에 적합한 정책을 연계하고 각 단계별로 참여하면 지원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미취업 청년은 최고 60만 원, 취업청년은 25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참여를 희망할 경우 청년이어드림 플랫폼을 통해 상담 가능 일자와 장소를 확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025.02.20(thur)  |  이현
  • Jeju Boosts Pest Monitoring Efforts
  • The Jeju World Heritage Headquarters is enhancing its monitoring of foreign and sudden pest outbreaks caused b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and international trade. Surveys will be conducted not only in pine forests but also in major tourist areas and roadsides to detect pest infestations and assess the risk of invasive species. Additionally, intensive pest surveillance will be carried out on island regions, which could serve as transmission routes for foreign or sudden pests. Furthermore, pesticide control trials will be conducted for emerging pest outbreaks, with plans to register effective pesticides for official use. 이상기온 속 외래·돌발 병해충 예찰 강화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이상기온이나 국제교역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래 또는 돌발 병해충 예찰을 강화합니다. 소나무 임지는 물론 주요 관광지나 도로변에서의 병해충 발생과 함께 침입 우려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합니다. 또 외래 또는 돌발 병해충의 전파 경로가 될 수 있는 도서 지역에 대해서도 병해충 정밀 예찰조사를 실시합니다. 이와 함께 돌발해충 발생에 대한 농약방제시험 연구를 실시해 방제농약으로의 등록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2025.02.20(thur)  |  이현
  • Jeju Records Lowest Find Dust Level
  • Last year, Jeju recorded its lowest fine dust (PM2.5) levels since monitoring began in 2015.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nationwide PM2.5 analysis, Jeju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in Korea at 12.3 μg/m³, reaffirming its clean air quality. This marks a 46% decrease from 22.6 μg/m³ in 2015. Experts attribute this improvement to fine dust reduction policies, a decline in China’s air pollution levels, and an increase in rainfall days.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 최저치…제주 대기질 최고 지난해 제주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관측을 시작한 지난 2015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환경부가 발표한 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 농도 분석 결과 제주는 1세제곱미터에 12.3마이크로그램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이며 청정한 대기질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특히 지난 2015년의 22.6마이크로그램에 비해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미세먼지 저감정책과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감소, 강수일수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2025.02.20(thur)  |  이현
  • Jeju Emergency Unit Transfers 3,500
  • Following the medical crisis, Jeju’s Emergency Medical Support Unit was launched last year to prevent emergency room "bouncing" incidents. Over eight months, more than 3,500 patients were transported. According to Jeju authorities, from March to November last year, approximately 3,500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general hospitals through the support unit. Established in February last year, the unit aims to prevent confusion between paramedics and hospitals, reducing patient transfer mishaps. It coordinates hospital transfers and treatments based on patient severity. Since its launch, no deaths have been reported due to emergency room "bouncing" incidents. '뺑뺑이 차단' 응급의료지원단, 3천여 명 이송 의료대란 사태 이후 응급실 뺑뺑이 사고 예방을 위해 지난해 응급의료지원단이 출범한 가운데 8개월 동안 3천 명이 넘는 환자 이송이 이뤄졌습니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지난 해 3월부터 11월까지 응급의료지원단을 통해 환자 3천 5백여 명이 종합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응급의료지원단은 119 구급대와 병원 측의 현장 혼선을 막고 환자 재이송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해 2월 출범했고 환자 중증도에 따라 병원 이송과 진료 등을 조정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응급의료지원단 출범 이후 응급실 뺑뺑이 등으로 인한 환자 사망 사고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2025.02.20(thur)  |  이현
  • Jeju Economy Struggles, Population Drops
  • Most major economic indicators continued to decline last year. At the same time, the outflow of people?key to economic growth?has increased, raising concerns for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Todd Thacker reports. Jeju Economy Struggles, Population Drops [Slug] 2024: Service industry production grew 4.5%, largest nationwide Last year, Jeju’s service industry production increased by 4.5% compared to 2023. In just 12 months, it rebounded successfully, marking the largest increase out of 17 regions nationwide. [Slug] Other economic indicators show poor performance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ervice industry production, most major economic indicators remain in the red. Retail sales, which reflect consumer trends, declined by 2.6%, mainly due to a downturn in duty-free stores. It recorded a steeper drop than the national average. Industrial production decreased for the second consecutive year, going against the national trend. Meanwhile, service industry production increased.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should support Jeju’s economy along with the tourism sector, saw a sharp decline in contract orders by more than 20%. Amid these challenges, exports?which should help the province overcome the economic crisis?fell by 2.7%, while imports plunged by 24.4%. Due to weak domestic demand, the employment rate remained stagnant, while the unemployment rate increased, further darkening the outlook for the job market. To make matters worse, the number of people leaving Jeju has increased. Last year, the net population outflow reached approximately 3,360 people, nearly doubling from the previous year. INTERVIEW Park Hye-rim / Jeju Office, Statistics Korea With the decline in domestic tourists and a contraction in consumption, sales at specialty stores and duty-free shops decreased, leading to a 2.6% drop in retail sal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population outflow, mainly among teenagers and young adults in their 20s, accelerated last year. <인터뷰 : 박혜림 / 통계청 제주사무소 주무관> 내국인 관광객 감소, 소비 위축 등으로 전문소매점과 면세점 판매가 줄어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2.6% 감소했습니다. 인구는 10대와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작년에 이어 타지역 유출이 가속화됐습니다. [Reporter] Todd Thacker [Camera] Kim Yong-min [CG] Lee A-min The outflow of young people, who are key to the labor market and have significant spending power, has hit the local economy hard. As a result, both the current and future economic prospects for Jeju remain uncertain. Todd Thacker, KCTV 작년 경제지표 '뒷걸음'…인구 유출도 '비상' [지난해 서비스업생산 4.5% 증가…전국 최대 오름폭] 지난해 제주지역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 대비 4.5% 늘었습니다. 1년 만에 증가 전환하는데 성공하면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서비스업생산 제외하면 경제 지표 '낙제점']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경제 지표들은 여전히 적신호가 켜져있습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지난해 소매판매는 면세점을 중심으로 2.6% 줄며 전국 평균을 웃도는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서비스업생산이 증가한 반면 광공업 생산은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성장세를 보인 전국 상황과 대조를 이뤘습니다. 관광산업과 더불어 제주경제를 지탱해야 할 건설업은 수주액이 20% 이상 급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경제 위기 극복의 물꼬를 터야 할 수출은 2.7% 감소했고 수입은 24.4% 크게 줄었습니다. 내수 부진에 고용률은 사실상 제자리 걸음에 그쳤고 반면 실업률은 상승하면서 고용시장의 먹구름도 짙어졌습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제주를 빠져나가는 인구까지 늘면서 지난해 인구 순유출 규모는 3천360여명으로 1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인터뷰 : 박혜림 / 통계청 제주사무소 주무관> 내국인 관광객 감소, 소비 위축 등으로 전문소매점과 면세점 판매가 줄어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2.6% 감소했습니다. 인구는 10대와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작년에 이어 타지역 유출이 가속화됐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그래픽 : 이아민, KCTV : Todd Thacker] 경제활동 참가율과 소비성향이 높은 청년인구의 유출은 노동시장을 위축시키고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이로인해 제주경제의 현주소는 물론 가야할 길도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5.02.20(thur)  |  이현
  • Jeju Seeks Elderly Rights Monitors
  • Jeju Seeks Elderly Rights Monitors Jeju City is publicly recruiting 50 human rights monitors for elderly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until the 26th of this month. Applicants must be Jeju citizens with a strong interest i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must not be working in the facilities being monitored. The term of service will be one year from the date of appointment. Selected human rights monitors will be responsible for conducting facility rights monitoring, providing counseling for residents' concerns, and taking action in cases of abuse, neglect, or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recommending corrective measures to local authorities. 제주시, 노인의료복지시설 인권지킴이 공모 제주시가 오는 26일까지 노인의료복지시설 인권지킴이 50명을 공개모집합니다. 신청 자격은 점검시설에 종사하지 않는 인권보호에 관심이 높은 제주시민 등으로 임기는 위촉일로부터 1년입니다. 선발된 인권지킴이는 시설 인권 모니터링과 입소자 애로사항 등을 상담하고 학대나 방임, 인권 침해 사례 발생 시 지자체 시정 권고 통보 등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 Seogwipo Signs Gym Project MOU
  • Seogwipo Signs Gym Project MOU Seogwipo (서귀포) City, which is currently pushing forward with the construction of a multi-purpose gymnasium, has signed an MOU with the contractor to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this agreement, the city and contractor will ensure that more than 70% of the subcontractors are local, create jobs for local workers, and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throughout the project. Seogwipo (서귀포) City stated that, in preparation for the 2026 National Sports Festival, it will expedite the expansion of the gymnasium facilities and initiate early maintenance works for quick implementation. 서귀포시, 종합체육관 건립 지역 활성화 협약 서귀포시가 종합체육관 건립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시공사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도내 하도급 업체 비율을 70% 이상으로 하고 지역 인력 고용, 사업 추진 과정에서 행정적 지원 등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서귀포시는 오는 2026년 전국체전에 대비해 종합체육관 경기장 시설 확충과 보수 공사 조기발주 등 신속 집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 JNU Hospital Partners with InDream Healthcare
  • JNU Hospital Partners with InDream Healthcare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healthcare startup InDream Healthcare have signed a business agreement for polypharmacy management. Under the agreement, Indream Healthcare will support the real-time analysis of drug interactions and side effects for prescribed medications.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expects that the collaboration will help prevent prescription error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medical care. Indream Healthcare is a startup incubated by the Jeju Center for Creative Economy & Innovation. 제주대병원-인드림헬스케어 다제약물 관리 협약 제주대학교 병원과 헬스케어 스타트업인 인드림헬스케어가 여러약물을 동시에 복용하는 다제약물 관리 협업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인드림헬스케어는 제주대학교 병원 의료진에서 처방하는 약물간의 상호 작용과 부작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제주대병원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약물 처방 오류를 예방하고 진료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드림헬스케어는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보육 기업입니다.
  • 2025.02.17(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