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Drowsy Driving Death Risk Doubles in Spring
  • As the risk of drowsy driving increases in spring, drivers are being urged to take extra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172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occurred on the island over the past three years, resulting in 3 deaths and around 290 injuries. The fatality rate for drowsy driving accidents stands at 2.7%, twice as high as the average for all traffic accidents.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and Jeju Police Agency warn that rising temperatures and longer daylight hours in spring heighten the risk of drowsiness. They advise ensuring sufficient sleep and ventilating the vehicle every 30 minutes while driving. 봄철 졸음운전 교통사고 주의…치사율 2배 높아 봄철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제주에서 졸음운전으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172건으로 이로 인해 3명이 숨지고 290여 명이 다쳤습니다. 졸음운전 교통사고 치사율은 2.7%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보다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도로교통공단과 제주경찰청은 봄철에 기온이 오르고 일조시간이 늘면서 졸음 운전 위험이 커지는 만큼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하고, 운전 중에는 30분 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2025.04.21(mon)  |  이현
  • Tamna Pay Use Led by Dining, Education
  • Jeju’s local currency, Tamnaneunjeon, is primarily used at restaurants and education-related businesses, according to recent findings. The Jeju Provincial Council reported that the total amount spent using Tamnaneunjeon last year reached 270 billion KRW. By sector, restaura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payments at 30.7%, followed by education services at 18.2%, and daily necessities at 13.1%. On average, users spent 173,000 KRW per month using local currency, with those in their 30s and 40s making up the largest portion of users. "탐나는전, 음식점·교육 가맹점 사용 집중" 제주 탐나는전이 음식점과 교육관련 가맹점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주도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탐나는전 사용액은 2천 7백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업종별 결제 비중은 음식점이 30.7% 로 가장 높았고 교육서비스 18.2% 생활 소비 13.1%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탐나는전 이용자의 월 평균 사용 금액은 17만 3천원이며 연령대로는 30 , 40대가 가장 많았습니다.
  • 2025.04.21(mon)  |  이현
  • Road Construction Halted Due to Budget Shortages
  • Multiple road construction projects across Jeju have been suspended due to budget issues. According to the Jeju Provincial Council, construction at over 40 sites, launched since 2021 has come to a standstill. The total cost of these projects exceeds 100 billion KRW, but rising material prices and design changes have led to the need for additional budget negotiations. Jeju authorities plan to prioritize construction at sites where traffic disruption and safety risks are highest. 도로 공사 장기간 중단…"예산 없어 차질" 각종 도로 공사가 예산 문제로 중단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제주도의회 등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착공한 도로 사업장 40여 곳의 공사가 현재 멈춰 있습니다. 공사비만 1천 억 원이 넘는데 물가 인상과 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관련 예산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교통 불편과 안전 사고 위험 등이 높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우선 공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2025.04.21(mon)  |  이현
  • Delivery Fee Support Cases Soar to 290,000
  • Jeju’s extra delivery fee support program, now in its third year, is receiving a strong response. According to the Province, 290,000 claims were submitted within a month since the program began on March 4. This amounts to an average of 3,500 claims per day ? a 2.8-fold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This year, individuals can receive up to 400,000 KRW in support. The program retroactively covers delivery fees paid from January 1 onward, and applications will be accepted until November 28. The province urges residents to apply early, as the program may end sooner if the allocated budget runs out. 추가배송비 지원 한 달간 29만건…2.8배 증가 제주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이 올해로 3년차를 맞고 있는 가운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이 지난달 4일부터 시작된 이래 한달 사이에 29만건이 접수됐습니다. 하루 평균 3천 500건으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2.8배 증가한 것입니다. 올해 1인당 지원 한도는 40만 원으로 1월 1일 이후 결제한 택배비용부터 소급신청이 가능하며 신청기한은 11월 28일까지입니다. 제주도는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에 종료될 수 있는 만큼 적극 참여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 2025.04.21(mon)  |  이현
  • Delivery Fee Support Surges, 10,000 Requests a Day
  • To help offset higher delivery costs in Jeju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 island’s parcel delivery fee support program is gaining strong momentum and public support. In just over a month, nearly 300,000 applications have been submitted, with close to 10,000 daily earnings. Now in its third year, the program has also introduced measures to prevent fraudulent claims. Joseph Kim reports. Delivery Fee Support Surges, Early Exhaustion Expected 추가배송비 하루 1만 건 신청…조기 마감? The Jeju parcel delivery fee support program is being promoted to reduce residents’ economic burden. [Slug] 290,000 applications in one month for Jeju parcel delivery fee support Launched on the 4th of last month, over 290,000 applications were received within a month through online submissions and in-person visits to community centers. [Slug] Nearly 10,000 applications daily, 2.8 times more than last year The average number of daily applications is around 9,700, which is 2.8 times higher compared to about 3,500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Slug] Expected early exhaustion driving more applications Now in its third year, the program has become more familiar to residents, and news of a reduced budget and possible early depletion is believed to have increased applications. [Slug] Applications accepted for deliveries between Jan 1 and Nov 28 this year This year’s program covers delivery charges paid from January 1 and will run until November 28. [Slug] Up to KRW 400,000 supported per person Each person can receive up to KRW 400,000. If the additional fee is indicated, the full amount excluding basic shipping is reimbursed; if not indicated, KRW 3,000 per shipment is provided. [Slug] Max KRW 200,000 support for outbound parcels Outgoing parcels are eligible for up to KRW 200,000 in support. To maintain the program’s original intent of supporting personal, non-commercial logistics, Excel or handwritten records from parcel agencies are not accepted. [Slug] Only approved couriers eligible To prevent misuse, only deliveries throug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registered couriers are eligible, and any invoice listing a business, farm, or co-op name is excluded from support. INTERVIEW Kim Yong-seok / Representative, Province We hope that many Jeju residents can enjoy equal delivery services without extra fees through this support program. Please apply from home and take full advantage of the benefits. [김용석 / 제주도 통상물류과장]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을 통해서 많은 제주도민들께서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육지와 동등하게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라고요. 집에서 편안하게 이용하셔서 혜택을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Reporter] Joseph Kim [Camera] Kim Yong-mi The province recommends applying promptly, considering that delivery information may disappear after a certain period for online orders. Joseph Kim, KCTV 도민들의 경제적 추가 부담을 덜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제주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 [제주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 신청 한 달 만에 29만 건 접수] 지난달 4일 시작돼 온라인과 읍면동 방문 신청을 통해 한 달간 29만 건 넘게 접수됐습니다. [하루 평균 1만 건 육박…전년 대비 2.8배 증가] 하루 평균 약 9천7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천500여 건과 비교하면 2.8배 높은 수준입니다. [추가배송비 지원 3년 차…조기 마감 예상되며 신청 증가 분석] 추가배송비 지원이 이뤄진지 올해로 3년차에 접어들면서 많은 도민들에게 익숙해졌고, 전년보다 예산이 축소되며 조기 소진이 예상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신청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올해 1월 1일~11월 28일 택배 이용료 지원 신청 가능] 올해 사업은 지난 1월 1일 이후 결제한 택배비용부터 소급 신청이 가능하고 11월 28일까지만 진행됩니다. [지원 한도 1인 40만 원…추가배송비 '실비 전액'-미표시 '건당 3천 원'] 1인당 지원 한도는 40만 원이며 추가배송비가 명시된 경우에는 기본 배송비를 제외한 실비 전액을, 표시가 없으면 1건에 3천 원이 지원됩니다. [발송 택배 20만 원 한도…택배 대리점 엑셀·수기 내역 '미인정'] 다만 보내는 택배는 최대 20만 원까지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영리 목적이 아닌 개인에 대한 생활물류 운임 지원이라는 당초 취지를 살리기 위해 택배 대리점에서 작성한 엑셀과 수기 내역 등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운송장에 업체·농장·조합명 포함된 경우 지원대상 제외] 또 부정수급 예방 등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택배사 이용건만 지원되고 운송장에 업체나 농장, 조합명 등이 포함된 경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김용석 / 제주도 통상물류과장]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을 통해서 많은 제주도민들께서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육지와 동등하게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라고요. 집에서 편안하게 이용하셔서 혜택을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KCTV : Joseph Kim] 제주도는 온라인 주문 등을 통해 택배를 이용한 경우 배송 정보가 일정 기간이 지나고 사라지는 특성을 고려해 수시로 신청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KCTV뉴스 Joseph Kim입니다.
  • 2025.04.21(mon)  |  이현
  • Seogwipo Supports Senior Glasses
  • Seogwipo City is providing financial assistance for glasses purchases to low-income senior citizens. Eligible recipients include seniors aged 65 and older who are receiving basic livelihood benefits or belong to the next lower income tier. They can receive up to 70,000 KRW once every three years. To apply, seniors need to visit their local community center with a prescription or a receipt for glasses purchase. However, purchases made for cosmetic purposes, rather than vision correction, are excluded from the program. 서귀포시, 저소득층 어르신 안경구입비 지원 서귀포시가 저소득층 어르신에게 안경구입비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65살 이상 어르신으로 3년에 1회에 한해 최대 7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처방전이나 안경 구입 영수증을 제출하면 됩니다. 다만 시력 교정 외 미용 목적으로 구입하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 2025.04.16(wed)  |  이현
  • Jeju Horses Give a Special Sight
  • After spending the winter at the Livestock and Life Science Research Institute, 108 Jeju horse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have been returned to their grazing grounds along Route 516. The horses will roam and graze freely across a 91-hectare natural pasture until early autumn. To assist visitors, guides will be stationed at the site to offer explanations and enhance visitors' viewing experience. The sight of Jeju horses peacefully grazing in the wide open fields is known as “Gosumokma” (고수목마)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10 scenic wonders of Jeju. 천연기념물 제주마 108마리 '방목'…고수목마 재현 천연기념물 제주마가 6개월 만에 다시 516도로 방목지로 이동했습니다. 축산생명연구원은 연구원내 사육시설에서 겨울을 보낸 제주마 108마리를 방목지로 옮기고 있습니다. 제주마들은 초가을까지 91헥타르 넓이의 자연 방목지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앞으로 방목지에는 해설사가 배치돼 제주마 관람객들의 편의를 도울 예정입니다. 드넓은 초지에서 풀을 뜯는 제주마의 모습은 '고수목마'로 불리며 제주 영주 10경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 2025.04.16(wed)  |  이현
  • Jeju Ramps Up Cruise Plans
  • Jeju Province has established and begun implementing its 2024 plan to revitalize the island’s cruise industry. Key initiatives include the installation of 38 self-service immigration kiosks to speed up entry procedures and the introduction of large-scale, accessible gangways designed specifically for cruise passengers. To promote the use of local supplies, Jeju will offer incentives for purchasing local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strengthen related marketing efforts. In addition, Jeju will operate cruise programs in preparation for becoming a homeport. The island will also develop shore excursion programs targeting solo travelers with a focus on traditional markets and local attractions. Jeju expects to welcome around 300 cruise ships and 800,000 visitors this year. 제주 크루즈산업 활성화…무인심사대·승강로 도입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제주 크루즈산업 활성화 시행계획을 수립해 시행합니다. 주요내용을 보면 크루즈 입국심사 시간 단축을 위한 무인심사대 38대와 무장애 관광을 위한 대형 크루즈 전용 승강로를 도입합니다. 또 제주산 선용품 납품 확대를 위해 제주산 농수산물 우선 구매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마케팅도 강화합니다. 이와 함께 준모항 추진에 따른 내국인 대상 크루즈 체험단을 운영하고 개별관광객 대상 전통시장이나 도내 관광지 등 기항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제주도는 올해 300여척에 80만 명의 관광객이 제주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2025.04.16(wed)  |  이현
  • Jeju 4.3 Opera Screens in France
  • The video of the original opera "Suni Samchon," (순이삼촌) based on the Jeju April 3rd Incident, will be screened in France. According to the Jeju 4·3 Peace Foundation, the screening is part of an April cultural event held in Marmande, France. As this marks the opera’s international premiere, the foundation is offering the screening free of charge. In addition, banners introducing author of the novel “Suni Samchon” Hyun Ki-young (현기영), and Nobel laureate Han Kang (한강), will be displayed. 4·3 창작 오페라 '순이삼촌' 프랑스서 상영 4.3 창작 오페라 '순이삼촌' 영상이 프랑스 현지에서 상영됩니다. 제주 4.3평화재단에 따르면 이번 오페라 상영은 프랑스 마르망드시의 4월 문화행사의 일환으로 마련됐습니다. 평화재단은 해외 첫 상영인 만큼 무료로 제공하는 한편 '순이삼촌' 원작 소설을 쓴 현기영 작가와 노벨문학생과 프랑스 메디치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에 대한 소개 현수막도 함께 게시할 예정입니다.
  • 2025.04.16(wed)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