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2] '악취관리지역' 지정 안돼
조승원 기자  |  jone1003@kctvjeju.com
|  2018.01.26 16:32
영상닫기
나종훈R 이어서...
지난 16일 열린 악취관리지역 지정 설명회.

이 때부터 지역주민과
양돈농가 사이에 의견은 갈렸습니다.

지역 주민들은
제재가 너무 약해
개선 효과가 있겠냐는 의문을 제기했고,

양돈농가는
과도한 규제라고 주장했습니다.

악취관리지역을 둘러싼 갈등의 골은
29일 지정 고시를 앞두고
한층 더 깊어졌습니다.

지난 24일까지 제주도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접수된 것만 500여 건.

이 가운데 상당수가
양돈업계에서 악취관리지역 지정에 반발해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악취관리지역 대상에 포함된
96개 농가 뿐만 아니라
도내 양돈농가 전체적으로
법적 대응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악취관리지역 지정 비상대책위원회 >
96개 업체가 지정돼 있잖아요? 전부라고 보시면 될 거예요. 96개 업체만 아니라 전 농가들에게 동의서를 받는 작업을 하고 있고요.

대한한돈협회 차원에서도
제주도에 의견서를 내고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유예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조진현 / 대한한돈협회 정책기획부장 >
농가 스스로 문제가 됐다면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지침으로 돼 있습니다. 기한을 줘서 그 기한까지는 유예를 달라는 것과 기준에 맞게

///
철저하게 조사하자는 두 가지입니다.

제출된 의견 500여 건에 대해
제주도가 절차적으로 답변할 의무가 있는 만큼,
답변하는 데만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오는 29일로 예정된 고시 일정도
틀어지게 됐습니다.

< 제주도 관계자 >
검토를 충분히 하고 지정 고시하기 전에 답변하게끔 돼 있어요. 검토할 시간이 꼭 필요하다는 거죠. 검토가 되는대로 지정하겠습니다.

악취관리지역 지정으로
생활 환경이 개선될 것을 기대했던 마을로서는
당혹스럽다는 입장입니다.

한림읍 이장단 협의회 차원에서 대책 회의를 갖고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이경철 / 한림읍 금악리장 >
원인을 제공한 건 양돈이지 않습니까? 행정이 아니고 원인 제공자가 개선해야 될 의무도 있다고 봅니다. (농가가 반발한다면) 저희도

///
자생단체와 함께 대응해야 하지 않을까...

그동안 양돈악취를 유발한데 대해
도민사회에 죄송하다는 사과와 함께
개선을 약속해 온 양돈농가.

하지만 실제 행동을 강제하는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앞두고는
반대 입장을 강조하며
맞대응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클로징>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불과 며칠 앞두고
지역주민과 양돈업계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제주도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양돈악취 개선에 대한 도정의 의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CTV 뉴스 조승원입니다."
기자사진
조승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