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1] "인권 보장" VS "치안 우선"
조승원 기자  |  jone1003@kctvjeju.com
|  2018.06.29 16:05
영상닫기

제주출입국.외국인청에
이른 아침부터
낯선 외모의 남성들이 눈에 띕니다.

취업에 필요한
외국인등록증을 발급하러 온
예멘 국적의 난민 신청자들입니다.

내전을 피해 찾은 제주에서
난민 심사를 신청했지만
대기하는 동안 생활비가 소진돼
일자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난민 신청 예멘인 >
방금 외국인등록증을 받아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게 됐어요. 그래서 기분이 좋고,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안전한 곳을 찾게 돼 행복합니다.

지난 4월부터 지난달까지
무사증으로 제주에 입국해
난민 심사를 신청한 예멘인은 486명.

이 가운데 일부는
일자리를 알선받고 취직도 했지만
어려움은 남아 있었습니다.

< 난민 신청 예멘인 >
(일터에)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없었어요. 일터에서는 우리에게 음식을 주지 않았고 우리가 먹을 수 없는 한국 음식만 있었어요.

반면 일자리가 없는 이들은
대부분 숙소에서 시간을 보내거나
하릴없이 거리를 배회하고 있습니다.

이런 예멘인을 바라보는
도민들의 시각은 엇갈립니다.

< 최유자 / 제주시 아라동 >
예멘인들이 많이 와서 큰일 났다는 얘기들을 해요. 사람 해코지할까봐 그런 것들이 불편한 거죠.

< 고신관 / 제주시 삼도동 >
무비자로 들어온 만큼 도에서 책임있는 행정을 해서 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했으면 좋겠어요.

난민 신청자에 대한 인권 보장과
지역 치안이라는 가치가 상충하는 가운데
국가인권위원회가 인권 상담에 나섰습니다.

예멘인들에게 내려진
출도 제한에 따른 피해나 취업 활동의 어려움,
인권 침해 사례를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 최낙영 /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장 >
상담한 내용 가운데 정책적으로 검토할 부분은 정책 파트로 넘기고, 난민 신청자 내에서도 차별 상황이 발생했다면 사건으로 접수해서

///
진정 사건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생존을 위해 모국을 떠났지만
제주에서 일자리 문제와 함께
문화적 또는
인식 차이에 직면해 있는 예멘인들.

<클로징>
"예멘인 난민 신청자에 대한
심사도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이처럼 도민사회에서는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관계 기관에서는
앞으로 이 사안을 어떻게 다루게 될지
이어서 김용원 기자가 짚어보겠습니다."
기자사진
조승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