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정보] 친환경 '제주산바나나' 재배 확대되나
김석범 보도국 국장  |  ksb@kctvjeju.com
|  2021.03.18 17:48
영상닫기
수입 자유화에 밀려 제주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던 바나나가 친환경 재배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직 규모나 생산량은 과거에 비하면 미미하지만 상품성을 높이고 난방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어 새로운 소득작물로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영농정보 김수연기자입니다.

하우스 시설 안에 수확한 바나나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습니다.

반나절 정도 후숙과정을 거치게 되면 전량 대형마트를 통해 출하됩니다.

바나나는 약 30년 전인 1980년대 후반기까지만 하더라도 400여ha가 재배될만큼 각광받았습니다.

그런데 우루과이라운드 무역협상에 따른 수입자유화로 1990년대 초에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맙니다.

그랬던 바나나가 친환경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금씩 재배면적이 늘고 있습니다.

2006년 서귀포시 한농가를 시작으로, 점차 늘더니 지금은 13농가가 9.7ha에서 재배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녕농협이 조성한 아열대 특화소득작목단지에서 9농가가 바나나를 재배하고 있는데, 아직 규모나 생산량은 과거에 비하면 미미하지만 소비자들의 관심은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바나나 출하 가격은 1kg당 평균 5천원으로 김녕농협에서 전량 수매해 계통 출하되고 있습니다.

<박윤보 / 바나나 농가>
"(협의된) 그 가격 내에서 전량 수매를 해서 다행히 다른 농가분들처럼 개인적인 판로에 대한 그런 고민은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그리고 이런 가격대를 쭉 유지해 준다면 충분히 앞으로 이것들을 더 할 수 있는…."

하지만 제주산바나나는 만감류인 레드향 등과 비교해 농가 소득이 낮고 특히 상품률이 만감류는 90%를 웃도는 반면 바나나는 절반인 50%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농업기술센터에서는 자연에너지를 활용한 난방비 절감 등 농가들의 경영비 부담을 이기 위한 연구를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덕훈 /동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제습 난방기를 사용하게 되면 낮에 있는 하우스의 열기를 물탱크에 저장해뒀다가 밤에 열기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보조 가온 효과를 누릴 수 있는데 그게 화석연료 사용량의 50% 정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한때 소위 폭망의 작물이었던 제주 바나나.

농업기술의 개발과 친환경 재배에 대한 관심까지 덩달아 높아지면서 다시 제주의 소득작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영농정보 김수연입니다.

기자사진
김석범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