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체육회가 보조금 횡령과 소년체전 실격패 사태 등의 책임을 물어 제주도테니스협회를 관리단체로 지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따라 테니스협회 임원진이 모두 해임되고 대의원이나 이사회 등 모든 운영은 제주도체육회에서 구성한 관리위원회가 맡게 되는데요.
오늘 이 안건을 논의하는 회의장 앞에서 테니스협회는 제주도체육회가 충분한 소명기회도 주지 않고 자신들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꼬리 짜르기 의혹을 제기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주도테니스협회를 관리단체로의 지정하는 안건을 논의하기 위한 제주도체육회의 이사회 회의장입니다.
보조금 횡령과 소년체전 실격패 사태 등의 책임을 묻는 차원입니다.
관리단체로 지정되면 테니스협회의 기존 임원은 모두 해임되고 당분간 도체육회에서 구성한 관리위원회가 협회를 위탁 운영하게 됩니다.
하지만 제주도테니스협회는 이같은 조치에 1인 피켓 시위에 나서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체육회가 관리단체 지정 논의를 통보한 지 사흘 만에 징계 절차를 밟고 있다며 관련 조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충분한 소명 기회 조차 주지 않는 부당한 처사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고위 간부의 여직원 성폭력 문제 등으로 제주도체육회가 각종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비난의 화살을 테니스협회 쪽으로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김석찬 / 제주도테니스협회 회원>
"(관리단체로 지정되면) 전 임원들이 해임되기 때문에 해임된 상황에서 저희들이 어떤 힘을 쓰기가 많이 힘든 상황이 되죠. 만약에 이 조치가 이뤄져서 저희가 잘못을 시인하면 그때 가서 (지정)하라 이거죠. 그때 가서 하면 안정하겠다고 그런데 지금은 아니지 않습니까?"
특히 전국소년체전 실격패의 원인이 됐던 코치 ID카드 발급 문제는 스포츠공정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라 제주도체육회가 책임질 수도 있다며 서둘러 테니스협회를 관리단체로 지정해 자신들의 손발을 묶는 것은 다른 의도가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제주도테니스협회 관계자>
"같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고 모색해야지 이렇게 일방적으로 저희한테 (관리단체 지정 논의) 통보를 지난 주 금요일 이렇게 해버리면 저희는 그 (탈락) 학생들에게 정말 미안한 존재로 남게 되는 거고..."
가맹 종목단체에 대한 징계 처리과정에서도 꼬리 자르기 의혹이 제기되는 등 제주도체육회 운영에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다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