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에서 수산물을 구입하면 온누리상품권으로 최대 2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위축된 수산물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인데요.
하지만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편의주의 행정으로 수산물 소비 촉진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동문재래시장 내 마련된 상품권 환급 창구.
1인당 최대 2만 원까지 수산물 구매액의 30%를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합니다.
하지만 장사가 한창인 평일 낮 시간대에도 환급 창구가 운영되지 않으면서 대기하는 소비자들만 가득합니다.
이로 인해 창구가 들어선 고객센터는 기능이 마비될 정도입니다.
<김지우 기자>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 주말과 달리 평일 창구 운영은 오후 4시부터 단 2시간 동안만 이뤄지면서 빈축을 사고 있습니다."
짧은 운영시간에 소비자들은 불편을 호소합니다.
<김재경 / 관광객>
"두 시간이면 굉장히 짧고 그리고 오전에 산 사람들은 이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잖아요. 좋은 제도인 것 같지만 이용하는 사람들은 불편하다."
<송숙자 / 제주시 일도동>
"1시간 넘게 기다렸는데 얼른 우리도 어디 가야 하는데 4시부터 한다니깐 불편합니다. 2시간 밖에 안 한다고 하니깐 어디 갔다 오지도 못하고."
창구 운영이 시작돼도 문제입니다.
동문시장에 마련된 환급 창구는 모두 2곳으로 인력도 각각 세네명에 불과합니다.
적은 인력이 수기로 영수증을 확인해가며 환급 절차를 진행하는 탓에 지나치게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김원일 / 동문재래시장 상인회장>
"주중에 2시간 정도 한다는 것은 찾는 소비자들을 욕하는 행동이나 다름없다고 이구동성으로 상인들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보완해서…"
해양수산부는 환급에 불편함이 없도록 인력과 환급 행사장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오는 21일부터 온누리상품권 간편 환급시스템을 도입해 환급 절차를 간소화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현장 확인과 수요 파악 없이 진행된 편의주의 행정으로 인해 수산물 소비 촉진 효과만 반감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김지우 기자
jibregas@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