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첫 외국인 공공형 계절근로자가 농가에 배치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농가와 근로자 모두 만족하면서 사업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데요.
다만 사업 확대를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베트남 여성 근로자가 능수능란하게 감귤을 수확합니다.
빠른 작업 속도에 감귤 바구니는 금세 가득 찼습니다.
꽉 찬 바구니는 베트남 남성 근로자가 수레를 이용해 옮깁니다.
하루 4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투입된 덕에 막막했던 6천600㎡ 규모의 감귤밭 수확도 끝이 보입니다.
<인터뷰 : 문대오 / 감귤농가>
“진짜 이거 뭐 베트남 일꾼들이 없으면 농사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일꾼 문제가 심각합니다. (기존 외국인 근로자는) 100원 더 주겠다고 하면 100원 더 주는 쪽으로 쏠려버리고 그래서 일하는데 굉장히 고생이 많았는데 금년의 경우는 정말 편하게 농사를 지었습니다.”
지난달 도내 최초로 도입된 외국인 공공형 계절근로자.
농가가 직접 고용하는 방식이 아닌 농협이 근로계약을 체결해 신청 농가에 인력을 투입하는 형태입니다.
농협은 근로자 공동숙소를 마련하고 관리 인력을 투입하는 등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집니다.
한 달간 운영한 결과 농가는 하루 1인당 많게는 4만원의 인건비를 절감하고 관리 부담을 덜고 있습니다.
근로자는 베트남과 비교해 5배 가량 많은 월급을 받고 취미활동과 고충상담 개최 등 원활한 적응을 위한 각종 지원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 쩐티밍 / 외국인 공공형 계절근로자>
“주변 지인에게 소개를 많이 하고 싶습니다. 관련 기관에서 너무 잘해주고 농가에서도 친절하게 대해줘서 좋고 무엇보다 베트남보다 월급을 많이 받아서 좋습니다.”
다만 펜션 등을 임시 숙소로 활용하고 있어 계절근로자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선 전용 숙소 건립과 관리 비용 확보 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현재근 / 제주위미농협 조합장>
“농가에서는 인력을 더 확충해달라고 하는데 자체적 관리가 50명 넘으면 숙박이나 관리가 힘들어서 이걸 행정에서만 해주면은 50명이 아닌 100명까지라도 요청해서…”
공공형 계절근로자 사업은 전국적으로 올해 23곳에서 내년 70곳으로 확대되며 제주에서는 총 3곳이 신청했습니다.
농촌 인력난 해소를 위한 계절근로자 사업이 효과를 보고 있는 만큼 이를 뒷받침할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박병준)
김지우 기자
jibregas@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