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없는 보건지소…주민만 불편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24.04.04 16:01
영상닫기
전공의 이탈 사태로 읍면지역 의료 공백도 가중되고 있습니다.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던 공중보건의들이 전공의 대체 인력으로 파견가면서 진료 중단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읍면지역 한 보건지소입니다.

지난 달 21일부터 내과 진료를 중단했습니다.

예방 접종과 약 처방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이 떠난 병원에 대체 인력으로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던 공중보건의들이 파견 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제주대병원과 한라병원에 공보의 5명이 채워졌습니다.

[김용원 기자]
"전공의 이탈 사태로 조천을 비롯해 도내 보건지소 5곳에서 공보의가 공석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보건지소를 이용하던 마을 주민들은 진료 중단이 2주째를 넘어가면서 불편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무자 / 마을 주민]
"여기 하면 당뇨 검사도 잘해주고 약 처방도 딱 해주면 내가 근처 아파트에 살고 아픈 곳도 많으니까 여기에서 진료 받을 건데 그런 얘기를 해도 알아듣지 않으니까"

하루 15명 내외 이용하던 진료실도 공보의가 없어지자 텅 비었습니다.

약 처방이나 증상 예후를 살피기 위해 보건지소에서 모니터링을 하는 환자 수십명도 당분간 보건소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고 주변 병의원이 있지만 고령의 어르신들이 이용하기엔 접근성이나 편의성이 떨어집니다.

[보건지소 관계자]
"평소 자주 다니는 곳을 가야 하잖아요. 그런데 안 오다가 이럴 때만 가려고 하니까 그쪽 병원에서 싫어하는 면이 없지 않고 저흰 단층인데 이게 힘들잖아요. 다른 곳은 2층이라서 계단 못 올라가서 못 간다..."

1차 진료 중단은 오는 17일까지이지만 기간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의료 공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현재로선 정부만 쳐다볼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한덕수 /총리]
"중증 위급환자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을 육성하고 환자 분들이 수도권으로 오지 않고 거주지 근처에서 치료받을 수 있는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를 마련할 그런 계획으로 있습니다."

읍면 기초 의료 인프라 마저 작동을 멈추면서 불편은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용민)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