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 마늘 수확 코앞인데…60% 이상 피해
김수연 기자  |  sooyeon@kctvjeju.com
|  2024.05.02 16:20
마늘 수확철을 앞두고
생리장해 현상이 나타나면서 비상이 걸렸습니다.

마늘 생육기인 지난 2,3월 평균기온이 높고 일조량이 부족해
제주 마늘의 60% 이상이
이같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번주 영농정보에서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수확을 앞둔 서귀포시 대정읍 마늘밭입니다.

마늘 줄기를 바라보는 농민의 얼굴에 걱정스런 표정이 가득합니다.

하나로 곧게 뻗어야 할 줄기 사이로 새로운 잎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마늘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생리장해 현상입니다.

당장 수확을 시작해야 하는 농가의 속은 새카맣게 타들어갑니다.

<인터뷰 : 농가>
"이렇게 하면 팔지를 못하죠. 마늘쪽이 이렇게 다 갈라져서..."

이런 생리장해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마늘 생육기인 지난 2,3월 기온이 높았던 탓입니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2,3월 평균기온이 9.9도로 평년대비 1.3도 높았고
강수량은 170mm로
평년대비 80mm 정도 많았습니다.

일조시간 역시 216시간으로 평년대비 119시간이나 적었는데
이같은 기상 요인으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마늘 주산지인
대정읍 안덕 지역의 80~90%에서 이같은 피해가 나타났고
제주 전체적으로는
발생률이 60%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농업기술원>
" "

생산량의 절반 이상이
정상적인 상품가치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농가에서는 올해 막대한 손해가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같은 피해가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만큼
정부에 자연재해로 인정하고
전수조사와 보상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농업기술원은 기후변화로
마늘 주산지인 대정지역의 기온이 계속 오르고
강수량이 많아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재배 작형을 검토한다는 계획입니다.

KCTV뉴스 김수연입니다.
기자사진
김수연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