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도내 건설업계가 휘청이고 있습니다.
민간 영역에선 이렇다 할 돌파구가 보이지 않다 보니
업계에선 국책사업의 조속한 추진과 공공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는 입장입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올해 초 준공된 주상복합아파트입니다.
2년 전부터 입주자 모집을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48세대 가운데 17%인 8세대가 미분양 상태입니다.
상가는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곳곳에 임대 안내문이 붙여져 있습니다.
도내 유명 브랜드 아파트인데도 부동산 한파를 피해가지 못한 겁니다.
해당 아파트 건설사는 계속된 미분양 여파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으면서
이미 맡은 관급공사까지 중단했습니다.
<김지우>
“불경기로 이같은 미분양 뿐만 아니라 공사 중단 현장까지 속출하면서 도내 건설업계 위기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
올들어 지난달까지 건설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0% 급감했습니다.
미분양주택은 역대 최고 수준인 2천 500호에 육박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매달 최대치를 갈아치우며 1천200호를 넘어섰습니다.
이로 인해 도내 고용시장의 한 축을 이루는
건설 취업자 수도 3만명 선이 붕괴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결국 건설업계는 IMF 외환위기 때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제2공항과 신항만 건설 등 국책 사업의 조속한 추진과
공공투자 확대 등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김기춘 / 제주특별자치도 건설단체연합회장>
“다른 지자체는 어떻게든 국내외 투자를 유치하려 혈안이 돼있고, 투자 유치 시 일괄 처리 방식으로 환대 받는 반면
제주는 이미 유치 예정된 사업들이 있음에도 난관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사업들이 정상 추진돼야 지역경제가 살아난다.”
고금리와 함께 미분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고분양가 논란에 대해선
건설비 증가로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면서도 자구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김기춘 / 제주특별자치도 건설단체연합회장>
“저희 업계에서도 부실시공이라든지 반성해야 될 부분도 많고 하루아침에 해결될 부분은 아니지만 꾸준하게 건설단체연합회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해서…”
제주도는 민간 대형사업의 지역 업체 하도급 참여비율을 70% 이상으로 권고하고
미분양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 강화와 단계별 대응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좌상은)
김지우 기자
jibregas@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