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도내 수영장의 운영실태 분석과 함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를 위해
공공수영장과 민간수영장의 상생을 위한 단계별 발전방향을 마련하고
학교수영장의
민간 개방 사례 분석을 연구하게 됩니다.
특히 도내외 공공 또는 민간수영장의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해
공공수영장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 사용료 기준안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현재 제주도내 공공수영장은
제주시 7개소, 서귀포시 4개소로 충분치 않아
민간이나
학교 수영장과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과제로 제시돼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