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민주당 중앙당 지도부가 제22대 국회 개원 이후 첫 예산정책협의회를 열었습니다.
제주도는 제주형기초자치단체 도입을 위한 주민투표와 상급종합병원 지정, 그리고 16개 사업 국비 1천 4백억 원 추가 확보라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정치권도 적극 협력 하기로 했습니다.
김용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제주도는 행정시를 두개에서 세개 권역으로 조정하는 제주형 기초자치단체를 2026년 7월 지방선거때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늦어도 올해 안에는 주민투표를 실시해야 하는데 요구권을 가진 행안부를 설득하기 위해 제주도는 도의회와 이달 중 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
정부가 주민투표와 분권 모델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제주도와 도의회는 제1현안임을 강조하며 민주당 중앙당 지도부에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사]
"아직 행안부가 적극적인 입장을 갖고 있진 않지만 행안부 설득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고 민주당도 당론으로 해서 함께 지원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전국 지자체 가운데 사실상 제주에만 없다시피한 상급병원 지정도 주요 안건으로 꼽혔습니다.
[김한규 /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위원장]
"국회 보건복지위 법안소위에 관련 법이 상정돼 있습니다. 제주도를 지금 서울과 같은 권역으로 묶어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하다 보니 제주가 전혀 지정이 못되고 있는데 제주도만 별도의 권역으로 묶어주신다면..."
제22대 국회 개원 이후 처음 열린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민주당 지도부는 특별자치도 출범 취지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들이 실현되도록 관심을 갖고 협력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박찬대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도민들이 뜻을 세운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제주권 상급종합병원 지정에 대해 김한규 의원도 말씀하셨는데요. 제주도민의 뜻에 따라서 선도적으로 좋은 제도가 도입되고 도민들의 지방자치 권리 회복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당에서도 뒷받침하겠습니다."
제주도는 내년도 국비로 이미 1조 9천 7백억여 원을 확보했습니다.
여기에 올해 전액 삭감된 알뜨르공원 평화대공원 사업비 22억 원과 70%가 감액된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운영비 28억 7천만 원 전액 복원 등 16개 사업에 국비 1천 417억 원을 추가로
확보하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기본계획이 고시되며 연내 발주 예정인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와 기본설계 관련 내년도 국비 236억 원 반영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집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김용원 기자
yy1014@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