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한지 7년이 지나고 있지만 여전히 평가는 엇갈리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잇따른 급격한 정책 변화는 오히려 시민 불편은 물론 재정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여러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일방통행식의 정책 추진이 아닌 도민 공감대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문수희 기잡니다.
버스 준공영제 도입 7년 만에 제도 손질에 나선 제주도.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대규모 버스 감차입니다.
대폭 줄어든 버스 대수에 노선 통폐합은 불가피했고 이로 인한 불편은 고스란히 도민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개편 후 한달동안 600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됐으며 결국 이에 대한 개선작업을 진행했고 일부는 개편 전 상태로 되돌아가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김영길 / 제주특별자치도 대중교통과장]
"지난 (버스) 개편 때와 비교해서 훨씬 짧은 시간 내에 개편이 완료됐고 이제 평상시로 돌아와서 지속적으로 노선을 효율화 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버스개편의 가장 큰 초점은 막대한 혈세 낭비를 막자는 것이지만 개편 후 단 두 달만에 이번에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제주형 중앙버스 전용차로 고급화 사업을 추진하며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제주시 광양사거리에서 옛 해태동산까지 잇는 중앙차로를 조성하고 여기에다 전국 최초로 섬식정류장에 양문형 버스까지 도입하며 500억원에 이르는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습니다.
노선 개편으로 버스 배차 간격은 늘어나고 환승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 인프라만 늘리며 타당성 논란을 놓고 있습니다.
[한동수 / 제주도의회 의원]
"새로운 시도도 좋지만 현재 제주도의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은 8%로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이것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에 대한 주민들의 접근성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제주도의 버스 수송 분담률은 10% 안팎.
전국 최초라는 타이틀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편리성과 이용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버스정책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좌상은)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