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32회 제주도의회 임시회가 오늘부터 오는 24일까지 회기로 시작됐습니다.
후반기 도의회 출범 후 처음으로 제주도와 교육청을 상대로 행정사무감사로 진행됩니다.
민선 8기 출범 후 여러 현안이 산적해 있고 일부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 치열한 공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번 임시회 주요 쟁점사항들을 짚어봤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 입니다.
제주도가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주민투표 실시를 정부에 건의한 지 두 달째.
관련법에 따른 절차 등을 고려했을 때 올해 주민투표를 실시하려면 늦어도 이달 중순에는 답을 받아야 하는데 행정안전부는 여전히 묵묵부답입니다.
자칫 해를 넘길 경우 후속조치 추진이 빠듯해 차질이 예상되고 추가 대책에 대한 요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 최대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박호형 /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전반기에 (추진한) 핵심 정책을 검토할 것이고요. 중요한 것은 행정체제개편에 있어서 어떻게 추진이 되고 있는지 집중 질의할 예정입니다."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반환점을 맞은 제주도정을 상대로 날선 검증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행정체제개편 외에 제2공항 문제도 최대 논란이 될 전망입니다.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과정에서의 제주도 패싱 논란과 함께 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제주도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대규모 감차에 따른 버스 노선 통폐합 논란과 함께 수소 트램, 양문형버스, 차고지 증명제를 중심으로 한 제주 교통정책, 그리고 실체가 없다는 지적의 15분 도시 정책에 대해서도 행정사무감사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민구 /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장]
"도민들의 피부에 와닿고 결론적으로 눈에 보이는 정책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방향으로 가겠다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결과물이 눈에 보여야 한다... 이런 것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소송에 휘말려 표류하고 있는 월정리 하수처리장 증설 공사와 청년층을 중심으로 탈제주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제주인구정책, 민생경제활성화 방안 등도 이슈화될 전망입니다.
제주도의회 후반기 출범 이후, 그리고 민선 8기 도정 절반을 마치고 처음 이뤄지는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 주요현안에 대한 어떤 평가가 이뤄지고 대안이 나올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