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체취증거견이렌 들어봅데가?
사름 냄음살을 마트는 디 특화뒈엉 강력 건서 사체나 용의자를 는 경찰견인디양, 뛰어난 후각 덕분에 실종자 수색 현장에서도 활약염수다.
김경임 기자가 보도쿠다.
[리포트]
무성 곶 이 고랑에 빠졍 이신 어르신 상태를 경찰이 확인염수다.
넘은 30일 실종 신고가 접수뒌 80대 치매 어르신을 수색 이틀 만이 발견 현장이우다.
당시 이 어르신을 은 주역은 사름 내음살을 추적는 개, 체취증거견이우다.
체취증거견이 오름 일대에 나타나수다.
훈련사의 지시에 랑 거침엇이 고지로 곡, 널른 곶자왈 하간 딜 뎅기며 내음살을 마탐수다.
질을 일러분 탐방객을 내음살로 수색는 상황을 가장 훈련이 한창이우다.
[경찰]
"이 개는 경찰견이우다. 사름을 물거나 해치진 아녀마씸."
순식간에 곶디 곱앙 잇인 사름을 아내곡, 큰소리로 주꾸멍 위치를 알렴수다.
체취증거견은 마약이나 폭발물 탐지견광 나게 사름 체취를 마트는 디 특화뒈엉 이수다.
이에 랑 강력 건의 변사체나 용의자를 는 것 말앙도 실종자 수색 임무도 마탐수다.
[김경임 기자]
"사름 내음살을 마트는 디 특화뒌 체취증거견이우다. 이치룩 곶자왈이 우거진 디서도 내음살을 이용영 실종자를 쉽게 을 수 잇수다."
전국 경찰청 소속 체취증거견은 영 29(스물아옵) 리.
현재 제주경찰청에서는 디아블로광 페르난도 두 릴 운용염수다.
경디 장애물이 하 드론이나 사름이 접근기 에려운 디서도 뛰어난 후각을 이용영 효과적으로 수색광 인멩 구조 작업이 가능단 보난 해 펭균 12(열두) 건 넘게 현장에 투입뒈엄수다.
[송윤호 / 제주경찰청 과학수사계 경위]
"드넓은 드릇밧이나 사름이 육안으로 베려지지 아년 디서 이 견이(개가) 진 인간의 만 배 이상의 후각을 이용영 (수색이 가능영) 실종사건 현장에서 큰 도움이 뒈엄수다."
사름 내음살을 추적는 체취증거견이 실종자 수색광 인멩 구조에도 성과를 보이멍 활약이 기대뒈엄수다.
KCTV뉴스 김경임이우다.
(영상취재: 좌상은, 화면제공: 제주경찰청)
[표준어] '냄새로 추적' 경찰 체취증거견 활약
[앵커]
체취증거견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사람의 냄새를 맡는 데에 특화돼 강력 사건에서 사체나 용의자를 찾는 경찰견인데요.
뛰어난 후각덕택에 실종자 수색 현장에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김경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무성한 수풀 사이 고랑에 빠져있는 어르신의 상태를 경찰이 확인합니다.
지난달 30일 실종신고가 접수된 80대 치매 어르신을 수색 이틀 만에 발견한 현장입니다.
당시 이 어르신을 찾은 주역은 사람의 냄새를 추적하는 체취증거견이었습니다.
체취증거견이 오름 일대에 등장했습니다.
훈련사의 지시에 따라 거침없이 숲으로 달려가고, 넓은 숲 속 곳곳을 다니며 냄새를 맡기 시작합니다.
길을 잃은 탐방객을 냄새로 수색하는 상황을 가장한 훈련이 한창입니다.
[경찰]
"이 개는 경찰견입니다. 사람을 물거나 해치지 않습니다."
이내 숲에 숨어있던 사람을 찾아내고, 큰 소리로 짖어 위치를 알립니다.
체취증거견은 마약이나 폭발물 탐지견과 달리 사람의 체취를 맡는 데에 특화돼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강력 사건의 변사체나 용의자를 찾는 것 뿐만 아니라 실종자 수색 임무도 맡고 있습니다.
[김경임 기자]
"사람의 냄새를 맡는 데에 특화된 체취증거견입니다. 이렇게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도 냄새를 이용해 실종자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전국 경찰청 소속 체취증거견은 모두 29마리.
현재 제주경찰청에서는 디아블로와 페르난도 2마리가 운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물이 많아 드론이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수색과 인명구조 작업이 가능하다보니 한 해 평균 12건 넘게 현장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송윤호 / 제주경찰청 과학수사계 경위]
"드넓은 들판이나 사람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 견이 가진 인간의 1만 배 이상의 후각을 이용해서 (수색이 가능해) 실종사건 현장에서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의 냄새를 추적하는 체취증거견이 실종자 수색과 인명구조에도 성과를 보이면서 활약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경임입니다.
(영상취재: 좌상은, 화면제공 : 제주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