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2019년 광주교도소에서 신원 미상 유해 260여 구가 발견뒈신디 이 가운디 일부가 4.3(삼) 행방불멩 희생자일 가능성이 제기뒈어수다.
현재 DNA 감식 작업이 진행 중인디 르민 연말쯤 결과가 나온덴 염수다.
김용원 기자우다.
[리포트]
지난 2019년, 광주교도소 인근에서 무연고 유해덜이 발견뒈어수다.
개개인 식벨 가능 대퇴부꽝으로 대조 결과 발견된 유해 쉬정은 당초 80(든) 구가 아니라 261(이백예순) 구로 확인뒈어수다.
연령대는 어린아이부떠 60~70대 남녀장 다양곡 5.18 희생자 연관성은 읏곡 사인도 알 수 읏덴 염수다.
이에 랑 제주도는 4.3(삼) 행방불멩 희생자 유해 신원 조사를 진행염수다.
발굴 유해 중 98%에서 DNA가 검출된 가운디 4.3(삼) 유족 2천여 멩의 채혈 정보광 대조 분석는 작업이 이뤄졈수다.
4.3(삼) 당시 광주형무소에 수감된 수형인은 판결 기록상 179(백이른아옵) 멩으로 파악뒈어수다.
4.3(삼) 단체는 이 중 형무소에서 옥사거나 사망 후 공소 기각 결정을 받은 수형인 16(열) 멩이 무연고 묘에 합장뒛을 가능성이 노프덴 암수다.
당시 여녕은 18(열답) 부떠 55(쉬은다) 로 1948(천구백십팔)년 6월부떠 1950년 3월 이 복역당 사망 걸로 추정뒈엄수다.
[양동윤 / 제주4.3(삼)도민연대 공동대표]
"이디서 공소 기각은 사망 사름덜이우다. 광주형무소에서 복역 중에 사망 사름덜이우다, 거자 대부분이. 수형인 179(백이른아옵) 멩을 분석 결과, 15 ~ 16멩이 나와마씸. 시급히 진상조사에 나사사 네다."
현재 신원이 확인된 4.3(삼) 희생자는 140(백마은)멩으로 대부분 제주 학살현장에서 수습된 유해우다.
제주가 아닌 지역서 4.3(삼) 유해 신원이 확인된 례는 넘은해 대전 골령골 학살 희생자 멩이 유일우다.
[김용원 기자]
"이번 광주교도소 유해 분석 결과는 연말 또는 내년 초 나올 예정인디 지역의 두 번차 신원 확인 례로 규멩될지 관심이 모아졈수다. KCTV뉴스 김용원이우다."
[표준어] 광주교도소 무연고 유해…4·3 희생자 '주목'
[앵커]
지난 2019년 광주교도소에서 신원 미상 유해 260여 구가 발견된 가운데 이 가운데 일부가 4.3 행방불명 희생자일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현재 DNA 감식 작업이 진행 중인데 빠르면 연말쯤 결과가 나올 예정입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9년, 광주교도소 인근에서 무연고 유해들이 발견됐습니다.
개개인 식별 가능한 대퇴부뼈로 대조한 결과 발견된 유해 수는 당초 80구가 아닌 261구로 확인됐습니다.
연령대는 어린 아이부터 60 ~ 70대 남녀까지 다양했으며 5.18 희생자 연관성은 없고 사인도 알 수 없는 드러났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가 4.3 행방불명 희생자 유해 신원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발굴 유해 중 98%에서 DNA가 검출된 가운데 4.3 유족 2천여 명의 채혈 정보와 대조 분석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4.3 당시 광주형무소에 수감된 수형인은 판결 기록상 179명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4.3 단체는 이 중 형무소에서 옥사했거나 사망 후 공소 기각 결정을 받은 수형인 16명이 무연고묘에 합장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당시 연령은 18살부터 55살로 1948년 6월부터 1950년 3월 사이 복역하다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양동윤 / 제주 4.3 도민연대 공동대표]
"여기에서 공소 기각은 사망한 사람들입니다. 광주형무소에서 복역 중에 사망한 사람들입니다. 거의 대부분이. 수형인 179명을 분석한 결과 15 ~ 16명이 나와요. 시급히 진상조사에 나서야 합니다."
현재 신원이 확인된 4.3 희생자는 140명으로 대부분 제주 학살현장에서 수습된 유해였습니다.
제주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4.3 유해 신원이 확인된 사례는 지난해 대전 골령골 학살 희생자 1명이 유일합니다.
[김용원 기자]
"이번 광주교도소 유해 분석 결과는 연말 또는 내년 초 나올 예정인데 다른지역 두 번째 신원 확인 사례로 규명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