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어] 농산물 수급 관리 정책…농가 참예율 저조
이주연 PD  |  ljy256@kctvjeju.com
|  2024.11.07 15:52
[앵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1차 산업 핵심 정책이 농산물 율 수급 조절이우다.

이를 위영 지난 4()월 농산물수급관리센터를 출범시견 내년 본격 운영을 준비염신디 질로 중요 농가 참예를 이끌어내지 못염수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우다.

[리포트]
지난 4()월 문을 연 농산물수급관리센터.

농산물 수급 관리를 행정에 메끼지 말앙 농민 스스로 겐 는 취지로 설립뒈어수다.

올한 당근, 감귤, 월동삐 시 개 작물에 우선 적용연 내년 본격 시행을 앞돤 잇수다.

[문수희 기자]
"농산물수급센터가 지 역할을 젠 민 무신거보담 참예율이 중요디, 안직장 농가 참예율이 저조우다."

현재 참예율이 질로 높은 작물은 당근인디 전체 1,600(천육백) 여 농가 가운디 1,000(천)여 멩이 참예염수다.

경디 남제기 작물 참예율은 인 거 닮수다.

감귤은 전체 2만여 농가 가운디 6백여 농가로 전체 3% 수준에 불과곡

월동삔 전체 5천여 농가 가운디 583(오백든시) 농가, 브로콜리 역시 전체 2천여 농가 가운디 600여 농가에 그쳣젠 염수다.

현재 농산물수급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품목벨 농가 참예를 독려염신디 전국 쳇 시행인 만큼 녹록치 아년 거 닮수다.

연합회 회원덜의 가입 동의를 받는 것도 개인정보 문제로 쉽지 아년 게 현실이우다.

[강동만 / (사) 제주농산물수급관리연합회장]
"올히는 회원 가입을 70% 는 걸 목표로 삼안 요지금 열심히 홍보염수다."

수급관리연합회에 가입 농민덜은 율 정책에 대 기대 속에서도 안직 부족 인센티브 정책에 아쉬움을 보염수다.

[강승규 / 감귤 농가]
"아멩헤도, 요지금 비료 값 보조금도 하영 줄어들어수다. 타이벡도 경곡. 고품질 감귤을 생산기 위 보조금 지원 정책을 강화헤사 농가덜이 하영 참예지 아녀카 생각염수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1차 산업 분야 핵심 정책인 농산물 율수급 조절 정책.

부족 참예율을 끌어올리기 위 방안 모색이 무신거보담 중요 거 닮수다.

KCTV 뉴스 문수희우다.



[표준어] 농산물 수급 관리 정책…농가 참여율 저조

[앵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1차 산업 핵심 정책이 농산물 자율 수급 조절입니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농산물 수급관리센터를 출범하고 내년 본격 운영을 준비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농가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문을 연 농산물수급관리센터.

농산물 수급 관리를 행정에 맡길 게 아니라 농민 스스로 하자는 취지로 설립됐습니다.

올해는 당근과 감귤, 월동무 3개 작물에 우선 적용해 내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
"농산물 수급센터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참여율이 중요한데, 아직까지 농가 참여율이 저조합니다."

현재 참여율이 가장 높은 작물은 당근으로 전체 1,600여 농가 가운데 1,000여 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작물 참여율은 낮습니다.

감귤은 전체 농가 2만여 곳 가운데 6백여 곳으로 전체의 3% 수준에 불과하고 월동무는 전체 5천여 곳 가운데 583곳, 브로콜리 역시 전체 2천여 곳 가운데 600여 곳에 그치고 있습니다.

현재 농산물수급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품목별 농가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전국 첫 시행인 만큼 녹록치 않습니다.

연합회 회원들의 가입 동의를 받기도 개인정보 문제로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강동만 /(사) 제주농산물수급관리연합회장]
"올해에는 회원 가입을 70%하는 것을 목표로 갖고 지금 열심히 홍보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수급관리연합회에 가입한 농민들은 자율 정책에 대한 기대속에서도 아직 부족한 인센티브 정책에 아쉬움을 보이고 있습니다.

[강승규 / 감귤 농가]
"아무래도 요즘에 비료값 보조금도 많이 줄어들었거든요. 타이벡도 그렇고.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기 위한 보조금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많은 농가가 참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1차 산업 분야 핵심 정책인 농산물 자율 수급 조절 정책.

부족한 참여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 모색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