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이후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정치와 경제 등 사회 전반의 불안함이 커지고 있습니다.
각종 정책에 대한 차질은 물론 연말연시 특수를 기다려온 지역 상권에는 찬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와 도의회, 도교육청 3개 기관은 공동 담화문 발표를 통해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민생 경제 안정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지난 주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본격적인 탄핵 정국을 맞고 있습니다.
불안한 정치 상황 속에 중앙정부와 조율이 필요한 각종 정책의 차질이 불가피하고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에 타격이 가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와 제주도의회, 제주도교육청이 공동담화문을 발표하고 탄핵 정국으로 우려되는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도민 생활 안정을 위해 모든 행정적, 법률적 권한을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의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탄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겠습니다.”
특히 과도한 불안 심리로 지역 경제가 위축되지 않도록 연말연시 모임이나 송년회를 독려했습니다.
제주도와 도의회 민생경제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민생경제 안정화를 위해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정책을 파악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내년 정부 예산이 증액 없이 감액안으로만 통과됐기 때문에 지역 화폐 등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추가 경정 예산의 조기 집행을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특히 과도한 불안심리로 경제가 위축되지 않도록 민생경제 안정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는 한편 정부에 조기 추경 예산 편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이와함께 3개 기관장은 이번 비상계엄 과정에서 제주 4.3을 폭동으로 표현하는 등 4.3의 가치를 훼손하고 왜곡했다며 단호한 대응과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