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 칭다오 항로가
개설 전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해수부가
허가를 내줄 것으로 협의를 봐놓고
돌연 입장을 번복했다며 불만을 표출했는데요.
해수부는 오지사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라며
제주~칭다오 항로 역시
다른 항로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절차대로 진행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화물선이 취항하기도 전에
혈세 낭비 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제주 ~ 칭다오 항로.
제주도의 계산보다 항로 개설 허가가 늦어지자
오영훈 지사는
해수부를 향해 작심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싱크 :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갑자기 그 (개설 신청) 시점에 돼서
(해수부) 국장의 입장이 영향평가 받아야 한다는 것으로 번복.
우한과 부산 신규 항로 허가가 됐습니다.
차별적인 요소가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이 있습니다."
오영훈 지사의 주장은
항로 개설과 관련된 협의 과정에서
해수부가
허가에 긍정적인 답을 했고
이에 따라
중국 측과 협정을 체결하고
화물선 취항을 위한 준비를 한 것인데
막상 제주도가 항로 개설을 신청하자
해수부가 돌연
영향평가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입장을 번복했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KCTV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항로 개설과 관련해
사전에 협의를 진행한 것은 맞지만
영향평가를 면제한다거나
허가를 약속한 적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항로 개설에 있어
영향평가는
당연히 받아야 할
일반적인 절차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접수된 순서대로 처리하고 있다며
제주-칭다오건은
후순위라는게 해수부의 설명입니다.
현재 해수부로 접수된 항로 개설 신청은 모두 4건.
최근 영향평가가 끝난 부산~중국 우한 항로의 경우
해수부가 동의 결정을 내리며
허가 마무리 단계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청일로부터 4개월 걸렸습니다.
다음 순서가 인천과 중국을 잇는 항로 순서인데
문제는
인천 국제 항로가 워낙 복잡한 탓에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겁니다.
제주 - 칭다오 항로 개설 문제를 놓고
두 기관의 입장차가 엇갈리는 가운데
해수부의 주장대로라면
허가까지 앞으로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이를 둘러싼 갈등과 논란은 쉽사리 가시지 않을 전망입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 그래픽 : 박시연)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