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주 동쪽지역에 추진중인
특수학교 설립 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특수학교 설립 예정지에 있는
송전탑의
전자파 등 안전성을 이유로 재검토를 지시했는데요.
제주도교육청은
송전탑 전자파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며
특수학교 규모를 줄여서
정부 심사 없이 예정대로 설립을 강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가칭 제주동부특수학교 설립 예정지입니다.
도내 3개 특수학교가 이미 정원을 초과한데다
동쪽 지역 특수교육 학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중입니다.
cg-in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제주 동쪽지역의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140명 수준에서 꾸준히 늘어
오는 2029년에는 160명을 넘어설 전망입니다.
cg-out
이에 따라 조천과 구좌, 성산읍, 표선면의 중간 지점인 이 곳에
오는 2029년까지
84명 수용 가능한 특수학교를 설립하기로 하고
정부 심사를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가칭 제주동부 특수학교 신설사업에 대한 재검토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브릿지 이정훈기자 ]
"정부가 송전탑 안전성을 이유로
특수학교 설립 계획 재검토를 지시한 가운데
제주도교육청은 규모를 축소해 예정대로 강행한다는 입장입니다."
제주도교육청은
한국전력에 안전성 검사를 의뢰한 결과
송전탑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가정에서 노출되는 전자파보다 낮은 수준으로 측정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대체부지를 찾기가 어렵고
본교가 아닌 자체투자심사를 통해
분교장 형태로 설립 계획을 변경해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양윤삼 / 제주도교육청 행정국장 ]
"저희가 한국전력에 검사 요청까지 해서 회신을 받은 바로는
(안정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거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
그 정도로만 나오는 것으로 유지가 돼서 저희가 그 부지로 밀고 갔고..."
대신 학교 건물을
송전선로 등과 50미터 이상 떨어져 짓고
중간에는 녹지 등을 조성해 안전성을 담보한다는 계획입니다.
늘어나는 특수교육 수요에 맞추기 위해
학교 규모를 줄여서라도 강행하겠다던 제주교육당국은
송전탑 전자파 안전성 검사를 맡은 한국전력이
이해 충돌 논란이 일자
다른 외부기관에 재검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CTV뉴스 이정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