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Low Grade Institutions to be Penalized
  • Low Grade Institutions to be Penalized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pushing forward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institutions that are pointed out for their lax management. The provincial office will establish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public institution innovation. The office will impose penalties, such as reducing budget, employee compensation including bonuses on public institutions which receive low grades or violate rules. In addition, institutions with low grades will be restricted from increasing the number of their employees or from carrying out consignment and/or assistance projects. Furthermore, problems will be derived from assessments on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of each institution and a supervising department will report their supervision reports to an inspection department. '저평가 공공기관' 연봉 삭감·보조사업 제한 방만 경영으로 비판을 받는 도내 공공기관 문제와 관련해 제주도가 개선방안을 추진합니다. 제주도는 공공기관 경영혁신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저평가를 받거나 기준을 위반한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예산과 연봉, 성과급을 감액하는 페널티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평가 결과 하위기관에는 인력 증원을 억제하고 위탁이나 보조사업을 제한하는 등 인센티브도 차등 지원할 방침입니다. 이와함께 각 기관별로 경영실적과 기관 운영에 대한 자체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도감독 부서가 특별지도 감독한 결과를 감사 부서에 통보하도록 했습니다.
  • 2021.11.15(mon)  |  고주연
  • DEF Shortage Crisis Expected
  • DEF Shortage Crisis Expected Diesel exhaust fluid shortage has become a nationwide issue and it is expected that DEF for public buses in Jeju will run out by the end of month. DEF is a key agent needed for operation of diesel freight and passenger vehicles. According to the province, out of 870 public buses including town shuttle buses, 690 operate with DEF. Based on the stock of DEF in the province, it is anticipated that they will last until the end of this month. In addition, it is forecasted that the amount of urea solution needed for freight vehicles, taxis, chartered buses, ambulances vehicles use for facilities for the disablde will also run out by the end of this month.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establishing emergency countermeasures to prepare for a prolonged DEF shortage crisis. To this, the government has supplied DEF to bus companies throughout the province. The volume is approximately 2,000 liters, which is the amount of a day's worth of all buses operating in the province. 대중교통 요소수, 이달 말 재고 바닥…확보 비상 전국적으로 요소수 대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제주지역 대중교통 차량의 한계점이 이달 말까지로 예상돼 물량 추가 확보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제주도가 집계한 요소수 비축량과 재고 현황에 따르면 도내 준공영과 공영, 마을버스 870여 대 가운데 요소수를 이용하는 차량은 690대로 현재 비축한 요소수 물량으로 운행 가능한 기간은 이달 말까지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민간 분야의 화물차나 택시, 전세버스, 장애인시설 차량, 의료기관 구급차도 이달 말이면 요소수가 바닥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제주도가 정부로 부터 배부받은 요소수를 도내 버스업체에 우선 공급했습니다. 물량은 2천리터 정도로 도내 운행되는 전체 버스의 하루치 분량입니다.
  • 2021.11.15(mon)  |  고주연
  • Jeju Feeling the Chill
  • Jeju Feeling the Chill This is the area around Jeju City Hall. Heavy rain drenches the ground. The wet weather sends people hurrying along with their umbrellas. Even though last Sunday marked the beginning of winte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Jeju enjoyed a warm weekend with a daytime high of 22 degrees Celsius. But on Monday, cold autumn rain and an icy wind arrived. People are now wearing thicker coats. Islanders and visitors alike are recognizing that winter is just around the corner. A total of 10 to 40 mm of rain were recorded in the early hours of Monday through to the afternoon, with some 60 mm measured in some areas. Following the rain, a strong, cold wind began to blow across the island. The daytime high on the island plunged to between 12 and 17 degrees Celsius on Monday. That's a six-degree drop from the previous day. The Mercury fell below zero up on Hallasan Mountain. The drop in temperature and rain resulted from a low pressure system and cold air mass flowing southwar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ecasts that Jeju's chilly weather will continue through the week. On Tuesday morning, Hallasan Mountain saw its first snowfall of the season. For the time being, daytime highs are expected to be around 15 degrees Celsius. Officials are advising islander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changing weather conditions and to take precautions to stay healthy. Todd Thacker, KCTV 하루만에 기온 '뚝'…이번주 내내 '쌀쌀' 제주시내 번화가입니다. 굵은 빗줄기가 끊임없이 쏟아져내립니다. 추적추적 내리는 비에 우산을 쓴 시민들은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겨울이 시작된다는 절기상 입동인 7일만 하더라도 낮 기온은 22도 안팎으로 비교적 포근한 날씨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하루만에 가을비에 찬바람까지 불면서 시민들의 옷차림은 두꺼워졌습니다. 갑자기 차가워진 공기에 겨울이 바짝 다가온 듯 합니다. 새벽부터 시작된 비는 낮까지 제주 전역에 10에서 40mm, 산지 등 많은 곳에는 60mm 안팎의 강수량을 보였습니다. 비가 그친 뒤에는 산지를 중심으로 제주 전역에 강한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그제(8일) 낮 기온은 12에서 17도로 어제보다 6도 이상 낮게 나타났습니다. 산지에는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내리고 찬공기가 남하하면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 겁니다. 기상청은 이번주 내내 이같은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화요일 오전 한라산에는 첫 눈이 내렸습니다. 당분간 낮 기온이 15도 안팎으로 쌀쌀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환절기 건강관리에 각별히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 ₩1.87B of Traffic Congestion Charges
  • ₩1.87B of Traffic Congestion Charges Jeju City Municipal Office has collected a total of 1.87 billion won of traffic congestion charges this year. This is the second time of collecting the charges following last year. 1.87 billion won is 89.3% of the imposed amount, that is 2.1 billion won, but this figure increased by 4.7% compared to last year. This year, Jeju City decided to reduce the charges by 50% and cut charges for unused facilities by temporary closures, shut down and vacancies. The decision was made to relieve economic burdens caused by COVID-19. 제주시, 올해 교통유발부담금 18억 7천만 징수 제주시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번째 부과된 교통유발부담금으로 18억 7천만원을 징수했습니다. 이같은 징수액은 부과액인 21억원에 비해 89.3%에 이르는 것으로 지난해보다 4.7% 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제주시는 올해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교통유발부담금의 50% 경감과 휴업이나 폐업, 공실 등에 따른 미사용 감면 등의 완화조치를 적용했습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 Ordinance files on High Delivery Fees
  • An ordinance that allows administration to manage Jeju's delivery costs which are more expensive than other areas was filed. According to the province, Jin Bo (Progressive) Party in Jeju filed an ordinance receiving consent of residents and was issued a representative certificate. The ordinance stipulates that delivery costs should be based on prices set by the provincial office, so that delivery fees are not overpriced compared to service fees. This allows the administration to intervene on delivery prices. Establishment of an ordinance can be filed, if signatures of 1,012 residents aged over 19 are collected. '제주 택배비 행정 관리' 조례 제정 추진 다른지역보다 비싼 제주의 택배비를 행정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례가 주민 발의로 청구됐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진보당 제주도당이 접수한 표준 도선료 조례안 주민 제정 청구에 대해 대표자 증명서가 발급됐습니다. 이 조례는 도선료가 원가에 비해 과다하게 책정되지 않도록 제주도가 제시하는 적정 금액을 표준으로 삼는다는 규정을 담았습니다. 자율적으로 부과되는 도선료에 대해 행정이 개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19살 이상 도민 1천 12명의 서명을 받으면 조례 제정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 Transportation Change Too Soon
  • Transportation Change Too Soon The provincial government said that it is not the right time to alter the current semi-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o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Researcher (이영수) Lee Young-soo of the Public Policy Institute for People claimed that the transportation costs have been overestimated and moral hazards of companies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policy debate held by the Justice Party in Jeju and the Korean Public Service and Transport Workers Union. Thus he added that the current semi-public bus system has to be changed to a public system by establishing a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or another public company. However, the province refuted his views saying that settling the current system is the first thing to do and that it is too early to review changes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버스 완전공영제 전환 필요"…"시기 상조" 현재 준공영제로 운영되는 제주지역 버스 체계를 완전 공영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제주도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냈습니다. 정의당 제주도당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제주도의회에서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이영수 사회공공연구원 연구실장은 발제를 통해 제주도 준공영제의 경우 표준운송원가가 과대 계상되고 업체의 도덕적 해이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제주도는 시설관리공단을 설립하거나 별도 공기업을 통해 완전 공영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제주도는 지금의 준공영제를 안착하는 게 우선이고 완전 공영제를 정책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반박했습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 3 Prosecuted on Dream Tower Survey
  • 3 Prosecuted on Dream Tower Survey The Jeju Police Agency has sent three people to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on charges of manipulating opinion poll results that were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casino to Dream Tower. Three people include an employee of a public company and a person involved in the casino. They recruited people to give favorable responses to moving Lotte Hotel’s LT Casino located in the Jungmun Tourism Complex in Seogwipo City to Dream Tower in Nohyeong-dong in Jeju City. They also made the collected people participate in the opinion poll last year. Meanwhile, one of the local non-government organizations released a statement saying that they welcomed the decision made by the police of admitting their charges and added that severe punishments on crimes will be needed through inditement. 드림타워 카지노 영향평가 조작 혐의 3명 송치 제주경찰청은 드림타워 카지노 이전 과정에서 여론조사를 조작한 혐의로 카지노 운영 업체 관계자와 지방공기업 직원, 의혹 제보자 등 3명을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이들이 지난해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롯데호텔에서 운영중이던 LT카지노를 제주시 노형동 드림타워로 이전하기 위해 유리한 의견을 내줄 사람들을 조직적으로 모아 여론조사에 참여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한편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입장문을 내고 경찰이 범죄혐의를 인정해 검찰에 송치 결정을 내린 것을 환영한다며 앞으로 기소를 통해 불법행위에 대해 엄중히 처벌할 것을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 Extension for KAS Underground Water
  • Extension for KAS Underground Water The provincial government submitted a motion to the provincial council that extends a contract period by 2 years for Korea Airport Service to develop underground drinkable spring water. The bill includes an extension of the underground water development expiration date of KAS which will expire on the 24th by two years. The amount of water intake will not change, that is, 100 tons per day and 3,000 tons per month. A committee managing underground water concluded that intaking 3,000 tons of underground water per month does not cause issues on underground water and the environment. This motion will be reviewed at the provincial council meeting which begins on the 15th. 한국공항 먹는샘물 개발 2년 연장 신청 제주도가 한국공항주식회사의 먹는샘물 지하수개발 유효기간을 2년 연장하는 내용의 동의안을 제주도의회에 제출했습니다. 동의안은 오는 24일 만료되는 한국공항의 지하수 개발 유효기간을 2년 더 연장하는 내용으로 지하수 취수 규모는 하루 100톤, 월 3천 톤으로 증산 없이 종전 물량을 유지했습니다. 지난 9월 열린 지하수관리위원회는 월 3천 톤을 취수할 경우 지하수나 주변 환경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결론내렸습니다. 이번 동의안은 오는 15일부너 열리는 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사합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 124 Cruises To Enter Ports Next Year
  • 124 Cruises To Enter Ports Next Year The restart of cruise operations is underway which has been suspended due to COVID-19, as 124 cruises are planned to enter ports in Jeju next year. According to next year’s berth allocation plan released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124 cruises will enter Jeju Port and the Jeju Civilian-Military Complex Port in Seogwipo City from next January. 70 cruises are planned to operate to and from Jeju Port from next January, including cruises heading to Japan and 54 cruises are scheduled to arrive and leave from the Civilian-Military Complex Port from January 4th of next year. However, the allocation of cruise schedules does not guarantee arrivals of cruises. The resumption of cruise tourism will depend on the decision made by the national government. 내년 크루즈 관광 재개 주목… 124편 선석 배정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크루즈선 운항이 중단된 가운데 내년 제주에 100여 척의 입항 일정이 접수돼 크루즈 관광이 재개될지 주목됩니다. 제주도가 공개한 내년도 국제크루즈선 선석 배정 결과에 따르면 내년 1월부터 제주항과 서귀포 민군복합항에 크루즈선 124척에 대한 일정이 배정됐습니다. 제주항에는 내년 1월 1일부터 일본에서 출발하는 크루즈선을 포함해 70편의 일정이 배정됐고 민군복합항에는 1월 4일부터 54편이 입항할 예정입니다. 다만 선석이 배정된 것만으로 실제 해당 크루즈의 입항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어서 우리 정부 측의 크루즈 관광 재개 논의에 따라 결정될 전망입니다.
  • 2021.11.10(wed)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