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Controversy of installations at Hallasan
  • Controversy of installations at Hallasan Province seeks further legal advice The provincial government will call on legal advice regarding as people are showing different opinions on the legality of the installation of radar equipment at Hallasan Mountain, which has been halted due to illegal permission issues. The provincial office consulted with 5 legal advisors on the legality of development in the absolute conservation area. While four advisors said it was okay and one said it was illegal. As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advisors may lead to biased interpretation the office has decided to reconsult with large sized law firms and the Legislative Office. Meanwhil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ich is a project entity, is pushing Jeju to make a rapid decision. Possible disputes are foreseen in relation to costs caused by suspension of 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and removal fees that may arise if the project is to be revoked. 한라산 레이더 법률 자문 결과 엇갈려 '재의뢰' 불법 허가 논란으로 잠정 중단된 국토교통부의 한라산 레이더 공사와 관련해 적법성 여부에 대한 엇갈리는 의견이 나오면서 제주도가 법제처와 대형 로펌에 법률 자문을 다시 의뢰하기로 했습니다. 제주도가 고문 변호사 5명에게 절대보전지역인 오름에서의 행위 허가 과정에 대한 법적 자문을 구한 결과 4명은 적법, 1명은 불법이라는 의견을 전해왔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법 해석 주체가 고문 변호사인 만큼 공정성 논란이 될 수 있는 만큼, 법제처와 대형 로펌에 다시 자문을 구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사업 주체인 국토부는 제주도에 빠른 결정을 재촉하고 있는 가운데, 공사 중단 장기화에 따른 비용 부담뿐 아니라 허가 취소시 지금까지 건설과 철거 비용을 놓고 다툼의 소지도 커지고 있습니다.
  • 2021.11.03(wed)  |  고주연
  • Seogwipo Chilsimni Festival
  • Seogwipo City is asking the public for suggestions regarding next year's Seogwipo Chilsimni Festival. Ideas will be accepted until the 30th. Submissions should be aligned with the purpose of the festival,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promote the audience to participate. A review committee will examine applications within next month. Selected ideas will be prized with 500,000 won. Prizes will also be awarded to excellent ideas with 300,000 won or 200,000 won depending on their ranks. 내년 서귀포칠십리축제 프로그램 전국 공모 서귀포시가 내년 서귀포칠십리축제 프로그램을 전국 공모합니다. 축제 취지와 지역특색, 화합과 연계하거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접수기간은 오는 30일까지입니다. 접수된 의견에 대해서는 다음달 중 심사위원회를 구성한 후 우수작을 선정하게 되며 최우수 50만원, 우수 30만원, 장려 20만원의 시상금이 전달됩니다.
  • 2021.11.03(wed)  |  고주연
  • Ages 12 to 15 to reserve vaccinations
  • Ages 12 to 15 to reserve vaccinations Applications have also re-opened for booster shots Vaccine booking is available for children aged between 12 and 15 and for those who are eligible and want to receive booster shots. Children aged between 12 and 15 can be inoculated by the 27th at consigned medical institutions. In addition, people who are in their fifties can make a booster shot reservation, if more than 6 months have passed from their vaccination date. People with any underlying diseases, who have received a Janssen vaccine or are within the essential job category may register for vaccination. 12~15세 백신 접종·부스터샷 사전 예약 시작 1일부터 소아.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추가 접종 사전 예약이 제주에서도 시작됐습니다. 12살에서 15살 소아.청소년은 신청자에 한해 오는 27일까지 도내 위탁의료기관에서 1차 접종이 가능합니다. 접종 완료 후 6개월이 지난 50대나 기저질환자, 우선접종 직업군, 그리고 얀센 백신 접종자는 오늘부터 추가 접종을 사전 예약할 수 있습니다.
  • 2021.11.03(wed)  |  고주연
  • New school establishment revoked
  • New school establishment revoked Voiced by Jeju High School alumni association The alumni association of the Jeju High School urged to revoke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s plan of establishing a new high school at the site of Jeju High School. The alumni association held a press conference at the provincial council building on the 1st and denounced superintendent Lee Seok-moon’s policy of expropriating Jeju High School’s land for the site of the new high school. They said that constructing 25 meter wide roads may violate rights of students and asked Superintendent Lee to indicate his clear stance on the issue. While Superintendent Lee announced a plan to establish a new high school last month, he said the issue of whether to use the site is not a matter that needs to be discussed with Jeju High School. 제주고 동창회, "모교 부지 내 일반고 신설 철회" 교육청의 동지역 일반고 신설과 관련해 제주고등학교 동창회가 모교 부지 내에 고등학교 신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주장했습니다. 제주고등학교 총동창회는 1일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모교 부지를 일반고 신설 부지로 수용하겠다는 이석문 교육감의 교육 정책을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신설 학교에 25미터 도로를 조성할 경우 제주고 학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될 수 있다며 이에 대한 교육청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했습니다. 이석문 교육감은 지난 달, 고등학교 신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제주고 부지 활용 여부는 학교측과 논의할 사안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 2021.11.03(wed)  |  고주연
  • Councilors question wind farms
  • Councilors question wind farms Pointing on lack of business viability An assessment on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 in 한동 Handong and 평대 Pyeongdae led by the Jeju Energy Corporation revealed that it did not have enough business value. During the Provincial Council’s meeting held on the 1st, councilors reviewe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offshore wind farm project which establishes wind farms at the coast of Gujwa-eup. At the meeting the counselors raised concerns over the viability of the new wind farms, as area wind turbines halted operations 77 times and had issues in dealing with excessive electricity demand. They also pointed out that while constructing the wind farms, marine ecosystems are damaged and dolphins are threatened However, countermeasures are underprepared. Meanwhile, the project was pushed forward as the first public offshore wind farm project by Jeju in 2015 but has been adrift due to the concerns over violation of fishing rights and ecological damage. "출력제어 빈번…한동·평대 풍력단지 사업성 의문" 구좌읍 앞바다에서 추진되고 있는 제주에너지공사의 한동·평대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1일 임시회에서 한동.평대 해상풍력단지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을 심사하면서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77차례 이뤄지는 등 넘치는 전력을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며, 새로운 풍력단지 사업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또 공사 과정에서 돌고래를 비롯한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책이 미비하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한편 한동평대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은 지난 2015년부터 제주의 첫 공공주도 해상풍력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어업권 침해와 환경 생태계 파괴 논란으로 표류하고 있습니다.
  • 2021.11.03(wed)  |  고주연
  • Jeju’s 1st Public Wind Farm Facing Problems
  • Jeju’s 1st Public Wind Farm Facing Problems An offshore wind farm project is set to build 19 turbines near (한동) Handong and (평대) Pyeongdae in (구좌읍) Gujwa-eup, Jeju City. The island's first public offshore wind farm project was initially proposed in 2015 by the province and the Jeju Energy Corporation. However, last year the Provincial Council put the brakes on the project due to concerns raised by area residents regarding environmental damage, habitat disruption, and potential breaches in fishing rights. A Provincial Council motion was recently tabled to examine the project's viability with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advance of the assessment, local politicians visited the site of the offshore wind farm last Friday. Area residents have to a degree eased their opposition to the project, but the problem of power output control remains a significant issue. In the case of wind power, the output control system halts the turbines when supply and demand is not matched or when the electricity generated cannot be stored, meaning this valuable resource simply goes to waste. Just last year, area wind turbines halted operations 77 times. Some industry watchers have raised concerns that the wind farm, which is planned to begin operation by 2025, could become a white elephant if the power waste issue remains unsolved. If the tabled motion is passed by the Provincial Council this week, the Jeju Energy Corporation is set to start construction in 2023. However, it doesn't look like the JEC will find it easy to get the green light for the project with environmental and energy waste problems throwing a wrench in the works. Todd Thacker, KCTV "출력제어 대책 있나" 해상풍력단지 논란 여전 제주시 구좌읍 앞바다에 풍력발전기 19대를 설치하는 한동·평대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 제주에서는 첫 공공주도의 해상풍력 사업으로 제주에너지공사가 지난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업권 침해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와 환경 생태계 파괴 지적이 잇따르면서 지난해 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렸습니다. 이후 1년 만에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이 다시 상정되면서 심사를 앞둔 도의원들이 현장을 찾았습니다. 당초 논란이 됐던 주민 수용성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됐지만 이번에는 출력제어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란 풍력발전기로 생산하는 전기를 제때 사용하거나 저장하지 못해 강제로 발전기를 멈추는 조치로 지난해에만 77차례 내려졌습니다. 본격적인 발전기 가동 시점인 2025년까지 기존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지어만 놓고 활용하지 못할 거란 우려도 나왔습니다. 제주에너지공사는 이번 도의회에서 동의안이 통과될 경우 2023년부터 본격적인 구축공사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출력제어 문제를 비롯해 해양 생태계 파괴에 대한 환경단체의 반발도 예상되고 있어 도의회의 문턱을 넘기가 쉽지만은 않을 전망입니다. KCTV뉴스 Todd Thacker입니다.
  • 2021.11.01(mon)  |  고주연
  • Land Sale for Complexes in Hwabuk
  • Land Sale for Complexes in Hwabuk Selling price at 69.1 billion The Jeju City government after posting a public notice on the sale of sites originally for hotel development repurposed the Hwabuk Commercial Area on October 29th. The city governmen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ecuring funds as no bidders would buy the land that was originally purposed for hotel development during the four executions of public notices since 2019. Thus the government has changed the purpose of the sites allowing them to be used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Expected selling prices were heightened from 47.8 billion to 69.1 billion won, however the building-to-land ratio, floor area ratio, maximum height and structural density remain the same. The Hwabuk Commercial Area Development Project is executed with land substitution until December of 2022. However, eight of 28 lots, including land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are yet to be sold. 화북상업 주상복합용지 매각 공고…예정가 691억 제주시가 그동안 매각되지 않아 사업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화북상업지역 내 호텔용지에 대해 용도 변경 후 지난 달 29일 매각공고를 냈습니다. 이번에 매각하는 체비지는 기존 호텔용지로 지난 2019년부터 4차례의 매각공고에도 응찰자가 없어 일반과 생활숙박시설로 변경하고 주상복합용도를 추가했습니다. 매각 예정금액은 기존 478억원에서 691억원으로 변경했으며 건폐율이나 용적율, 높이 등 개발밀도는 종전 그대로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제주시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은 내년 12월까지 환지방식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전체 체비지 28필지 가운데 주상복합용지를 포함한 8필지를 매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2021.11.01(mon)  |  고주연
  • Plans for New Jeju City Hall in Review
  • Plans for New Jeju City Hall in Review Provincial council re-examines plan The provincial council has re-examined the construction of a new Jeju City Hall building, which was halted last year. The provincial council’s Autonomy Administration Committee proposed a public property management plan for constructing a new Jeju City Hall during the 399th provisional meeting on October 1st. The plan was proposed on the tables of the provincial council in October of last year. However, the examination was not conducted due issues surrounding the administration district system and cost issues. The plans includes constructing a new Jeju City Hall with three stories below and ten above ground level and 25,000 square meters of land for parking lots which calls for a total investment of 72.9 billion won. '한 차례 제동' 제주시청사 건립계획 재상정 도의회가 지난해 보류했던 제주시청 신청사 건립 계획을 다시 심사했습니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1일에 열린 제399회 임시회에서 제주시청사 신축을 위한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상정했습니다. 제주시청 신청사 계획안은 지난해 10월 도의회에 상정됐지만 행정체제 개편 논의와 비용 문제 등을 고려해 심사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제주시청 신청사 건립 사업은 총사업비 729억원을 투자해 2만 5천 제곱미터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10층 규모의 신청사와 주차장을 조성하는 내용입니다.
  • 2021.11.01(mon)  |  고주연
  • Expansion to Preservation Areas
  • Expansion to Preservation Areas Preservation areas increase by 430,000 square meters Absolute preservation areas where development is strictly prohibited will be expanded. The provincial government finalized a survey on conservation areas that is conducted every five years and the revisions to the plan will be disclosed to the public after November 15th. The revised plan includes that absolute conservation areas will increase by 430,000 square meters and relative conservation areas will decrease by 4,000 square meters. Some of lava tubes and coastal dunes and detention ponds for disaster prevention are newly designated as absolute preservation areas. Experts will inspect it during an open period and briefing session will be held in December, and then the procedure for consent by the provincial council will be followed. '개발 제한' 절대보전지역 면적 확대…변경안 열람 개발행위가 엄격히 제한되는 절대보전지역 면적이 확대됩니다. 제주도는 5년 단위로 시행하는 보전지역 통합 정기조사를 마무리하고 변경안을 마련해 다음달 15일까지 일반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용역진이 제시한 변경안을 보면 절대보전지역은 기존보다 43만 제곱미터 늘고 상대보전지역은 4천여 제곱미터가 줄었습니다. 비지정 용암동굴과 해안사구, 재해방지 목적의 저류지 등이 절대보전지역으로 신규 지정되며 전체적인 면적이 늘었습니다. 제주도는 열람 기간 제시된 의견에 대해 전문가 정밀 검증을 거쳐 오는 12월 변경안에 대한 최종 보고회를 개최한 뒤 도의회 동의 절차를 밟을 계획입니다.
  • 2021.11.01(mon)  |  고주연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