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1] 원도정 공무원 또 증원 '논란'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19.07.05 12:47
영상닫기
제주특별자치도가 또 공무원 증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놓고 여전히 논란이 많습니다.

특별자치도 출범 당시
네 개 시군 폐지에 따른 행정경비 절감을 위해 세웠던
공무원 감축 목표는 어느새 사라졌습니다.

특히 원희룡 지사 취임 이후 공무원 정원은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이번 주 집중진단은
점차 비대해지고 있는 공무원 증원 실태를 짚어봤습니다.
김용원. 양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주도가 이달 부터
확대 시행된 차고지증명제를 계기로
공무원 정원 증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차고지증명제
현장 인력 16명을 비롯한
교통분야 23명,
그리고 안전과 환경 분야 16명,
사회복지 45명,
문화예술 분야 5명 등
총 102명 규모입니다.

차고지증명제와
커뮤니티케어 시범사업,
미세먼지 대응 등
정부와 도정 현안 추진을 위해
필요한 인력라는게 제주도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제주도는
현장 일선 인력을
늘린다면서 도 본청에
24명을 추가하는 계획을
끼워넣었습니다.

반면
서귀포시에서 요구했던
정원은 67명 가운데 절반이 채 안되는
30명 만 반영시켰습니다.

제주도의회가
이를 문제 삼았지만,
결국 공무원 정원은
이번에도 또 늘어났습니다.

수정 가결된
추가 정원은 73명으로
당초 계획보다 29명 줄긴 했지만,
전체 정원은 6천 5명에서
6천 78명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환경부서에 미세먼지대응팀과
도민안전실소속 산업안전보건팀 등이
신설될 예정이지만,
역할이 불분명한
정무특보와 대외협력특보가
신설되는 것은 논란입니다.

제주도의회는
본청 조직 일부를 통합하고
읍면동 인력 재배치 등을 주문했습니다.

이번 조례 개정안은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8월 정기 인사때부터 적용됩니다.

<김용원 기자>
"특별자치도 출범 당시 제주도는 행정경비감축을 위해 공무원 정원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13년이 지난 지금 오히려 1천명 넘게 늘어 타당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더욱이 공무원 정원은 원희룡 지사 때 집중됐습니다.
계속해서 양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