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2] 공무원 수 6천명…출자기관 합치면 '1만명'
양상현 기자  |  yang@kctvjeju.com
|  2019.07.05 15:39
영상닫기
이번 조례 개정안이 도의회를 통과하면
제주도 공무원 정원은
6천 5명에서 6천 78명으로 늘어납니다.

특별자치도 출범 당시 4천 895명에 비해
24%, 1천 100여명 증가한 규모입니다.

주목할 점은 공무원 증원이
원희룡 도정 출범 이후에 집중됐다는 것입니다.

지난 2014년 원 지사가 출범한 민선 6기부터
민선 7기 현재까지 공무원 정원 조례는 모두 12번 바뀌었습니다.

6년 동안 한 해 평균 2번씩 바뀐 셈입니다.

바뀐 조례에 따라 공무원 정원 수는
지난 2014년 5천 172명에서
6천 78명으로 천명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그렇다고 일선 민원 현장에 인력을 집중 배치한 것도 아닙니다.

이 기간 도본청 공무원은 32% 늘어난 반면
행정시와 읍면동 공무원은 12.5% 증가에 그쳤습니다.

이 밖에도 공무직 3천 2백여 명과 출자출연기관,
지방공기업 정원 2천 1백여 을 더하면
공무원 조직은 1만 2천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여기다 올해
1천명 이 넘는 시설관리공단까지 출범을 예고하면서
이제는 공무원 정원이
임계점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원 지사는 정무라인을 대거 늘려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민선 6기에서
정무특보, 정책보좌관실장 등을 잇따라 신설했고
이번 7기에서도
선거캠프 출신 또는 언론인을
고위직 또는 보좌진으로 대거 등용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또
정무특보와 대외협력특보, 법무특보를 추가 임명할 예정입니다.

특별자치도를 출범하면서
네개 시·군 폐지에 따른
행정 경비 절감을 위해 세웠던
공무원 감축 목표는 어느새 흐지부지됐습니다.

<원희룡 / 지사(취임 1주년 기자회견)>
"일정 정도의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인구 늘어난 것이나 행정시 결원 문제, 이런 부분이 있다보니깐 인사, 증원에 대해서 불가피한 것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인터뷰:강철남/제주도의회 의원>
"도 본청의 국 단위 조직이 너무 많습니다. 15개 국입니다. 인구, 공무원 숫자 비율로 봤을 때 전국에서 가장 많습니다. 이 부분을 줄여서 인력을 시나 읍면동으로 배치해서 현장을 강화하는 형태로... "

한해 지출되는 제주지역 공무원 인건비는
어느새 5천억원을 넘고 있습니다.
전체 예산대비 12.2%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공무원수가 늘어나는 만큼
행정개혁이나 서비스가 개선됐느냐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해마다 비대해지는
공무원 조직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 이유입니다.

KCTV 뉴스 양상현입니다.
기자사진
양상현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