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포커스] 겉도는 옛 탐라대 활용방안
이정훈 기자  |  lee@kctvjeju.com
|  2019.10.02 10:32
영상닫기
<이정훈 기자>
"제주도가 4백 여억원을 들여 학교법인 동원교육학원으로 사들인 옛 탐라대학교 부지와 건물이 3년 넘도록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카메라포커스에서는 그동안의 추진 과정과 앞으로의 활용 방안을 취재했습니다. "

제주도가 지난 2016년 매입한 옛 탐라대학교 부지와 건물입니다.

31만2천 여 제곱미터 부지와 11개동 건물로 매입액만 415억여원에 달합니다.

매년 제초 작업과 한 명의 관리인을 배치해 시설을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년째 활용되지 않으면서 건물과 시설 노후화도 빠르게 진행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
"과거 대학생들이 체육활동을 했던 운동장입니다. 지금은 잡초만 무성하게 자라났습니다."

제주도는 옛 탐라대 부지와 건물 활용방안으로 해외대학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외국대학 설립 매뉴얼 등을 제작했고 세계 100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캠퍼스 유치 희망 안내문 등을 발송하는 등 유치작업을 벌여왔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등 일부 대학 관계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김영희 / 제주도 대학정책팀장>
"유치 조건에 있어서 요구조건이 우리 제주도가 제시하는 조건과 맞지 않은 경우가 발생해서 현재까지 유치를 이루지는 못한 상황입니다. "

제주도는 외국대학 유치를 위해 탐라대 건물과 부지를 무상 임대해주고, 투자진흥지구 지정을 통해 세금 감면 등 행정지원을 계획중입니다.

또 건물 리모델링 등이 필요한 재원은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관련법이나 조례 개정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제주도의 바람과 달리 제주에 외국대학을 유치하기 위한 주변 여건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비롯해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외국 교육기관과 연구소 등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경쟁은 한층 치열해졌습니다.

특히 지자체마다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내세우면서 상대적으로 재정이 열악한 제주로서는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유치에 성공하더라도 학생 충원을 우려한 외국 교육기관들이 개교를 철회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지방 의회와 학계,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성과없는 외국대학 유치에 메달리기보다는 지역여건에 맞춰 유치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홍명환 / 제주도의회 도의원>
"외국 명문대학 유치를 고집하다보면 탐라대학 활용에 대한 답을 찾기가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고요. 지금이라도 외국 명문대 유치라는 고집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용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국내대학 단과대학이나 연구소, 연수원 등 유치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상기 / 서귀포시 하원마을회장>
"주민들이 원하는 것은 1차는 대학 유치이고 어렵다면 중앙정부나 공기업같은 연수원이라도 유치해서 주민들에게 고용창출도 되고..."

학계에선 과거 제주와 경쟁을 벌였던 부산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 산하의 세계수산대학 유치를 위해 지역 산업에 특화된 수산분야 대학원을 시범 운영한 사롑니다.

수산 분야에 특화된 교육과 인프라로 전세계 인력들이 찾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기구 등 으로부터 대학원 인증을 받아내는 이른바 단계적 접근 방식인 것입니다.

<고창훈 / 제주대 명예교수>
"외국 대학은 가져와야 하는데 생각보다 어렵고 지금부터라도 교육을 시작해야 돼요. 모델이 어디냐면 부경대가 유엔의 수산대학을 가져오기 위해 10년을 노력했잖아요. 우리는 안했잖아요."

제주도는 옛 탐라대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내년 연구용역 발주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리한 유치 조건 등 주변 여건을 무시하고 로드맵 없이 해외 명문대학 유치에 메달리는 한 수백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옛 탐라대 활용 방안은 요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카메라포커습니다.

기자사진
이정훈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