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취재수첩] '보급률 0.7%' 스마트팜 외면
변미루 기자  |  bmr@kctvjeju.com
|  2021.06.24 10:49
영상닫기
<오유진 앵커>
이번 주 카메라포커스는 스마트팜 보급 정책의 현실과 문제점을 집중 취재했습니다.

취재기자 나와 있습니다.

변미루 기자! 현재 제주에 스마트팜이 얼마나 조성돼 있습니까?


<변미루 기자>
네. 주로 시설 통제가 가능한 하우스 작물, 감귤이나 만감류 같은 과수농가에 스마트팜이 집중돼 있습니다.

간간이 망고나 바나나 같은 아열대 작물도 있고요. 다만 노지에서 기르는 밭작물은 날씨나 주변 환경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로선 스마트팜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주요 대상 작물인 과수농가로만 봤을 때도, 전체 3만 1천여 군데 가운데 214군데만 보급됐는데요.

비율로는 0.7% 수준입니다.

농민들의 참여가 저조하다보니, 편성한 예산을 쓰지 못해 이렇게 절반이 넘게 반납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유진 앵커>
6년이 지나도록 0%대군요. 그래서인지 스마트팜이라는 개념이 어디까지인지 조금 헷갈리기도 합니다.

명확한 규정이 있습니까?

<변미루 기자>
네. 농촌진흥청의 정의를 빌려보면요.

스마트팜은 진화 단계에 따라 3세대로 나뉩니다.

1세대는 스마트폰으로 농장의 문을 여닫거나, 물을 준다거나 하는, 편리를 추구하는 방식이고요.

다음 2세대는 작물의 생육을 측정하고 빅데이터로 관리하는,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3세대는 전 과정의 자동화, 무인화 단계입니다. 제주의 경우, 이제야 감귤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1세대에서 2세대로 막 건너가고 있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2천 년대 초반 이미 스마트팜을 도입한 다른 지역보다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오유진 앵커>
정착도 제대로 안되고 있다고요?

<변미루 기자>
네. 물론 일부 선진농가는 정책이 나오기 전부터 자체적으로 스마트팜을 조성하기도 했는데요.

이런 분들은 기술적인 부분까지 개척하다시피 하면서 나름의 성과를 일구고 있습니다.

반면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보조사업에 멎춰 진입했다가 시행착오를 겪는 경우도 많은데요.

스마트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계에만 의존하다보니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기계도 제주와 맞지 않는 다른 지역 것들이 대부분이고, 그러다보니 가격만 비싸고 AS는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또 감귤류 빅데이터가 없어서 프로그램을 운용할 매뉴얼조차 없는 상태입니다.


<오유진 앵커>
앞으로 어떤 것들이 보완돼야 할까요?

<변미루 기자>
네. 저희가 취재를 하면서 만난 농민과 전문가들 모두, 결국 스마트팜이, 제주농업이 가야 할 지향점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었습니다.

현재의 고령화, 경쟁력 하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분명히 필요한 돌파구인데요.

때문에 이제라도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제주형 스마트팜을 구축하고, 교육과 지원을 통해 농민들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 시급합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