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시설관리공단' 재추진, 이번엔?
문수희 기자  |  suheemun43@kctvjeju.com
|  2024.05.10 14:52
영상닫기
전임 도정에서 추진하다 의회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시설관리공단 설립방안이 민선 8기 도정에서 다시 추진합니다.

상하수도 등 일부 시설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이 필요하다는 논리인데요.

앞서 경제적 부담 등을 이유로 설립 계획이 공감대를 얻지 못했던 만큼
이번 재추진 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돕니다.

민선7기 도정에서 추진되다 설립이 무산된 시설관리 공단.
하수도와 환경, 공영버스 등 공공 인프라 운영을 관리하는 조직입니다.

당시 찬반 논란속에 거대한 공단 규모에 비해 업무 효율성과 경제성 등 설립 계획이
의회로부터 공감대를 얻지 못하며 결국 백지화 됐습니다.

그런데 최근 오영훈 도정에서 다시 시설관리공단을 설립하기 위한 준비에 나섰습니다.

제주도는 올해 첫 추경예산안에 시설관리공단 설립 타당성 검토를 위한
용역비 1억9천5백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상하수도 등 공공시설 부서에 대한 공무원 기피 현상이 심해지면서
지속성과 전문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게 이유입니다.

<인터뷰 : 고미경 / 제주특별자치도 조직관리팀장>
“이러한 문제는 시설관리의 환경 변화 등을 고려했을 때 전문성을 가진 공공기관의 설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해 추진하게 됐습니다.”

예산이 통과되면 제주도는 정부 협의 등
후속 절차를 거쳐 하반기 안에 용역을 발주할 계획입니다.

아직 기본계획이 수립되진 않았지만 경제성 등 반대 여론을 감안해
공단 대상 시설을 하수도 등 일부 환경 시설로 축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용역에서는 시설관리공단 설립의 적절성과 사업별 수지 분석, 조직과 인력 수요,
지방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계획입니다.

앞서 제주도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설립이 무산됐지만
이번에는 재추진을 위해 의회와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또 지난 도정질문 등에서 오영훈 지사와 일부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시설관리공단 설립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공무원 조직이 비대해지는데에 따른 경제적인 문제와
방만 경영 등 부작용을 막을 방법, 기존 제주도의 역할을
어떻게 나눌지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
기자사진
문수희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