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먼바다에서 조업하던 진도 선적 어선이 갑자기 통신이 두절돼 해경이 긴급 출동했습니다.
해경은 선박 충돌에 의한 침몰 사고로 추정했지만 단순 교신 문제로 드러났고 다행히 선박은 정상 항해 중인 걸로 확인됐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해경 헬기 열화상 카메라에 찍힌 차귀도 서쪽 110km 해상입니다.
짙은 안개가 낀 바다에는 선박 한 척 보이지 않습니다.
어제(24일) 밤 11시 15분부터 진도 선적 46톤급 A 호의 위치 신호가 끊긴 지점입니다.
수차례 교신에 실패하자 목포어선안전조업국이 오늘(25) 새벽 5시 45분쯤 해경에 신고했습니다.
해경은 위치신호가 끊긴 시점에 홍콩 선적 3만 5천톤급 상선이 해역을 운항한 사실에 미뤄 충돌로 인한 침몰로 추정하고 긴급 출동했습니다.
승선원 12명이 타고 있어 대형 인명피해까지 우려된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선박은 정상 운항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호가 끊긴지 약 10시간 지난 오늘(25일) 오전 9시 8분 무전을 통해 어선안전조업국으로 위치를 알렸고 해경은 차귀도 남서쪽 240km 해역에서 조업중인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A 호에는 위치신호를 알리는 장비들이 설치됐지만, 통신 반경이 80km에 불과해 100km가 넘는 해역에선 무용지물이었고 100km 이상에서도 위치 신호가 자동 전송되는 장비가 있었지만 이 역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원거리 조업에서 1500km 해역까지 교신 가능한 무전기가 있었지만 선장은 "당시 소리를 줄이고 조업하는 상황이어서 신호를 듣지 못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단순 교신 장애로 배타적 경제수역을 포함한 제주 해역을 관할하는 함정 8척과 헬기 4대가 총출동하는 소동이 빚어진 겁니다.
[송상현 / 제주해양경찰서 수색구조계장]
"수신이 안됐다고 합니다. 잠은 안 잤고 수신이 안됐다고 말씀하셨습니다.위치만이라도 어업정보통신국에 확인됐다면 저희 가용 세력이 오늘 총동원되지 않았을 텐데 만약 다른 해역에서 사고가 터지면 저희가 대처가 불가능한 상황이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조업 어선은 24시간 마다 위치 보고를 하게 돼 있지만 최근 3개월 사이 이를 지키지 않은 어선은 40척이 넘고 있습니다.
기상 문제로 인한 통신 장애나 원거리 조업 등이 주 원인이지만 조업을 위해 일부러 신호를 끄는 사례도 종종 나타나고 있습니다.
[조업 어선 관계자]
"오늘 날 좋다가 내일 주의보 내려진다고 하면 수신 장비 다 꺼버리고 (조업했어요.) 몇 년 전만 해도 그런 경우가 많았어요."
한편 남해어업관리단과 해경은 어선이 입항하는대로 경위를 조사할 예정인 가운데 이번 소동을 계기로 원거리 조업의 고질적인 통신 장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도 시급해 보입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화면제공 제주지방해양경찰청)
김용원 기자
yy1014@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