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활성화 정책 '도마'…"체감도 떨어져"
문수희 기자  |  suheemun43@kctvjeju.com
|  2024.07.16 15:10
영상닫기
침체된 경제 상황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폐업하는 가게는 속출하고 기업과 가계 대출 연체율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데요.

경제 위기 상황에서 제주도의 대책이 부실하고 체감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주도의회에서 제기됐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돕니다.

지난 2022년까지만 해도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던 도내 기업 대출 연체율은 2023년부터 급격히 상승하더니 지난해 4분기에는 전국 평균 대비 두 배 이상 높게 기록했습니다.

가계 대출 연체율도 지난해 들어 큰 상승폭을 보이며 최근 5년 사이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렇게 제주지역의 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제주도의 경제 정책이 제주도의회 임시회 회의에서 도마에 올랐습니다.

한 권 의원은 여러 정책을 뒤져봐도 치솟는 연체율에 대한 대응은 없다며 제주도의 안일함을 꼬집었습니다.

지금은 정책을 고민할 때가 아닌 실행할 때라며 일시적인 자금난에 처한 기업과 가계에 대한 맞춤식 지원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권 / 제주도의원]
“연체율 관련해서 직접적인 대책은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번 현안업무보고를 준비하면서...그런 부분에서 크게 아쉽다는 말씀 드립니다."

또 민생 경제 활성화 정책도 체감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잇따랐습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코로나 팬데믹 때보다 더 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민생의 목소리에 보다 귀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김승준 / 제주도의원]
“모든 게 경기가 너무 좋지 않다는 얘기인데 국장님이 꼼꼼히 지역 경제를 살펴봐야 하지 않나, 소상공인들의 이야기를 직접 듣고..."

제주도 역시 경제 정책 체감도가 낮다는데 일부 동의하며 민생경제 활력을 위한 정책을 더 발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인영 /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활력국장]
“정부 정책과 연계해서 도에서 대응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실질적으로 도민들이 체감을 느껴야 하는데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겠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또 1차 산업과 관련해 전국 최고 수준인 농가 부채를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과 기후위기에 대응한 대체 작물의 발굴이 과제로 제시됐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박병준, 화면제공 : 제주도의회)
기자사진
문수희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