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급성 호흡기 질환을 포함한
법정 감염병이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늘고 있고
수두와 백일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환자 발생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여성 환자가
목 통증과 발열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습니다.
단순 감기인줄 알았는데
검사 결과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씽크:코로나 양성 환자>
"이틀 전부터 목이 아프면서 두통이 있고 온몸이 아프더라고요.
아무래도 걱정돼서 왔는데 코로나라 그러네요. 여태까지 한 번도 안 걸렸거든요. 그래서 의심을 안 했어요.
그냥 감기 몸살이겠지 했는데 너무 속상하네요."
호흡기 질환자 가운데
절반 가량은
코로나19 관련 방문 환자로
많게는 하루 30명 씩 확진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6월 셋째주 4명이던 코로나19 환자 수는
한 달 뒤인
7월 셋째주에는 44명으로 10배 이상 늘었습니다.
특히 환자의 70%는 65살 이상 고령층으로 파악됐고
요양원을 비롯한
감염취약시설 등에서
집단 감염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용범/이비인후과 전문의>
"코로나 감염 환자가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가 더위에 강하고 마스크를 벗는 환경 때문에 코로나 감염증이 지속적으로 확산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2종 법정 감염병인 '수두'와
발작성 기침을 동반한
급성 호흡기 질환인 '백일해' 환자도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수두 발생 환자는
제주가 160여 명으로
2위인 울산의 두 배,
전국 평균의 네 배를 훌쩍 넘고 있습니다.
백일해 환자도
제주는 인구 10만 명당 72.8명으로
전국에서 발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백일해는
최근 5년 간 발생 환자가 2명 뿐이었지만
올해는 500명에 육박할 정도로
전례 없는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씽크:김동근 /질병관리청 호흡기감염병 대응팀장>
"2021년이나 2022년에 유행을 했었어야 했는데 유행을 안 하고 있다가 코로나가 끝나고 대면 접촉이 생기면서 유행하는 게 있고 또 하나는 코로나19 동안 발생했어야 되는
감염병이 발생 못하면서 지역사회에서 면역력을 획득할 기회가 감소한 것이 또 하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비말 감염 예방을 위해
영유아나 고령층 고위험군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감염병에 걸렸다면
자율 격리를 통해 외부와의 접촉을 피해달라고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더욱이 여름철 밀폐된 공간에서는
전파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다며
위생 관리와 실내 환기에 신경써달라고 강조했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그래픽 소기훈)
김용원 기자
yy1014@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