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불안감 '확산'…"충전률 제한"
문수희 기자  |  suheemun43@kctvjeju.com
|  2024.08.14 15:26
영상닫기
최근 발생한 인천 전기차 화재 사고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전기차 보급률 1위인 제주도도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무엇보다 공공기관의 급속충전기 이용을 80%로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감시장비와 질식소화덮개 등 화재진압 장비 보급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돕니다.

최근 인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

순식간에 차량 140여 대가 불에 타거나 그을리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기차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자 제주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급속충전기의 경우 충전률을 제한한다는 겁니다.

급속충전기의 경우 충전율 제한이 가능한데 80%까지 충전이 되면 전력 공급을 강제로 멈춰 과충전을 막겠다는 취지입니다.

다만 충전 제한 프로그램이 아직 불안정한 상태여서 시스템 안착까진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제주도는 또 소방본부, 전기안전공사.

충전기 민간사업자 등과 합동점검반을 꾸리고 추석 전까지 도내 전기차 충전 시설을 일제 점검합니다.

이를 토대로 지하나 실내, 다중이용시설 주차장에 설치된 충전기에 대한 전반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합니다.

감시장비와 질식소화덮개 등 화재진압장비를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

제주도는 충전률 제한이나 안전시설 확충을 공공기관부터 우선 적용하고 민간시설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김우찬 / 제주특별자치도 첨단차산업팀장]
"제한을 하게 되면 급속충전 80%가 되면 전력이 차단되는 기능입니다. 배터리에 대한 과충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주도의 올해 전기차 보급 목표는 6천여 대.

지난달 까지 보급 댓수는 1천 900여 대에 그치고 있습니다.

그렇치 않아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제주지역 전기차 보급에 이번 화재사고까지 겹치며 더욱 주춤하게 된 가운데 제주도의 대책이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의문입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 영상편집 : 박병준)

기자사진
문수희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