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건설사업에 대한 기본계획이 고시되며 환경영향평가와 공항 설계를 포함한 본격적인 후속 절차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영훈 지사가 제주 제2공항 사업 고시 이후 처음으로 입장을 내놨습니다.
특히 환경영향 갈등 조정 협의회 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또 이번에 2단계로 나눠 추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불편한 속내를 내비치면서 민자 유치나 제주도의 투자 없이 국가 사업으로 마무리 돼야 한다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돕니다.
기본계획 고시로 사업이 본격화된 제2공항.
최대 변수인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앞둔 가운데 오영훈 지사가 환경 영향 갈등 조정 협의회 구성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
오 지사는 출입 기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제2공항 사업은 환경 영향 평가 동의 절차에 갈등 해소 문제가 달려 있는 만큼 도민 공감대에 맞는 결과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와 같은 찬반 입장이 이어진다면 협의회를 가동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갈등조정협의회를 구성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에 나와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지금과 같은 찬반 입장이 계속될 경우 가동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공항 사업은 국가 사업으로 마무리 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2단계로 나눠 사업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제주도의 입장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불편한 속내를 내비쳤습니다.
그러면서 민간 자본을 유치하거나 제주도가 직접 투자하는 것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민자 유치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없습니다. (그러면 2단계까지 국가에서?) 당연히 국가사업으로 가야죠. 2단계까지."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주민투표 실시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입니다.
제주도의 계획대로 올해 안에 주민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이달 중 행정안전부가 투표 실시를 요구해야 하지만 아직 실무 차원의 논의 단계에 그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부정적이다, 긍정적이다, 이렇게 표현하긴 쉽지 않은 상황이고 그래도 제주도의 요구에 대해 면밀히 살펴볼 의지는 있는 것 같다..."
이 밖에 오영훈 지사는 내년 제주도 예산은 민생 경제 활력과 인구 정책에 우선 순위를 두고 편성했고 최근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불거진 태도 논란에 대해서는 보여진 그대로 도민들에게 평가받겠다고 답했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