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제주에서 열렸던 대통령 민생토론회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는 바로 미래산업과 에너지 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꼽을 수 있습니다.
민선 8기 도정들어 역점 추진하고 있는 UAM이나 그린수소, 분산에너지 정책에 지원과 투자 계획이 발표되며 탄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돕니다.
UAM과 그린 수소, 우주 등 미래 신산업에 뛰어든 제주도,
제주도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예산은 차치하더라도 각종 규제를 풀어야 하는 과제가 있어 중앙 정부의 지원 없이는 한계가 있습니다.
좀처럼 뚜렷한 성과가 보이지 않던 상황에서 이번 대통령 민생토론회를 계기로 사업에 탄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토론회 자리에서 발표한 미래 신산업 분야 실천 과제는 UAM 시범 운용 구역과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 그린 수소 실증 사업 투자,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 체계 구축 등입니다.
우선 UAM의 경우 정부의 K-UAM 로드맵에 따라 공공과 관광, 교통,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상용화를 준비 중입니다.
관련법 제정이 추진되고 안정성 검증 단계에 있는데 지난해 국토부가 실시한 용역 결과 제주와 대구 경북, 부산이 상용화에 적합한 지역으로 분석되기도 했습니다.
시범 운용 구역은 내년 상반기에 결정됩니다.
[전형필 /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
"제주도가 민간 기업과 UAM 시범 사업에 대해서 굉장히 열심히 진행 중이고요. 저희가 그 사실을 알고 있고 이것을 구현하기 위해서 저희 국토부도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올해 6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분산에너지 특별법에 따라 제주도는 특구 지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미 용역을 통해 조천과 구좌 지역을 중심으로 한 특구 운영 계획의 밑그림을 그렸습니다.
특구로 지정이 되면 전력 자유 거래 시장이 운영되고 ESS 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개념이 적용돼 사업 활성화는 물론 출력 제어 문제 해소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제주 뿐 아니라 울산, 인천, 충북 등 전국에서 10곳 가량의 지자체가 분산에너지 특구에 눈독을 들이는 상황에서 이번 대통령의 발표로 제주가 힘을 얻게 됐습니다.
이 밖에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과 그린 수소 생산에 전폭적인 투자를 약속하며 탄소 제로 정책도 순항이 예상됩니다.
[오일영 /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
"내년에는 아까 대통령님께서도 말씀하셨던 것처럼 폐배터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신규 사업, 그리고 자원순환 클러스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제주도는 UAM 시범운용지역과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 차질이 없도록 사업 계획을 점검하고 그린 수소 활용처를 확대하는 등 후속 절차를 밟아갈 계획입니다.
[고윤성 /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성장과장]
"이 사안들은 평소에도 부처와 교감하고 챙기고 있었고 대통령님 말씀을 좀 더 지렛대 삼아서 부처와 논의를 힘있게 신속하게 가져감으로써 빠르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래 산업과 에너지 정책 등 민선 8기 제주도정의 핵심 사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한 윤석열 대통령.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제주도의 철저한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 )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