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전쟁 전후 학살된
민간인 희생자 유해를 추모하는
전국단위의 위령시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해를 모두 화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4.3 유족들은
행방불명 희생자 신원 확인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지난 2023년 대전 골령골 4.3 희생자 유해를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광주 형무소 희생자 유해가 가족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다른 지역 형무소에서 억울하게 희생됐지만,
유해 DNA와
유족 채혈 정보가 일치하면서
70여 년 만에 고향 제주로 오게 된 겁니다.
하지만 앞으로 이 같은 유해 송환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숨진 민간인 희생자 유해 약 4천 구를
합동으로 모시기 위한
전국 단위 위령시설 건립을 정부가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해를 안치 형태가 아닌
집단 화장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4.3 유족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씽크:양성주 / 4·3 희생자유족회 부회장>
"이제 유족 채혈이 진행되고 조사도 이뤄지는 판에 화장해서 한꺼번에 합쳐버리면 신원 확인이 되더라도 유해 한 줌도 가져올 수 없는 상황이 되잖아요. 너무 서글프지 않습니까."
발굴 유해 4천구 가운데 절반은
아직 유전자 샘플을 채취하지 못했습니다.
갈수록 DNA 분석 기법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해를 화장하면
아예 희생자 DNA를 확보할 수 없어 신원 확인은 불가능해 집니다.
유족들은 이를 우려하면서
정부에 강한 불만을 쏟아냈습니다 .
<싱크:안기택/4·3 행방불명희생자유족회 대전지회장>
"정부에서 자기 부모 형제면 이렇게 하겠습니까? 아닐 겁니다.
기가 막힙니다."
<양성홍/4·3 행방불명희생자유족회장>
"우리 유족들의 희망이 완전히 사라지는 계기가 될 것 같아서 우리가
힘을 모아서 절대적으로 화장해서 합사 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유족회는
집단 화장, 합사 계획을 즉시 철회하고
4.3 희생자 유해 발굴과 수습은
4.3 위원회 심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는
법적 절차를 준수하라고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씽크:김창범/4·3 희생자유족회장>
"위령시설에 모셔질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모든 유해에 대한 집단 화장 및 합사 방침을 즉각 철회하고, 개별 화장과 봉안을 통해 4·3 희생자의 신원 확인과 봉환을 책임지고 보장하라."
한편 제주도는
행안부에 유족회 의견을 전달하는 등 후속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4.3 당시 다른 지역 형무소에서 희생된
행방불명 희생자는 1천 8백 명을 넘고 있습니다.
뒤늦게 유해 신원이 잇따라 확인되고
발굴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집단 화장을 강행할 경우
지역 사회 우려와 반발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박병준)
김용원 기자
yy1014@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