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사라지는 꿀벌들…양봉산업 '위기'
김지우 기자  |  jibregas@kctvjeju.com
|  2025.02.13 16:21
영상닫기
해마다 제주에서 꿀벌 개체 수가 줄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지역 양봉산업이
존폐위기에 처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지우 기자입니다.
제주시 지역의 한 양봉농가입니다.

벌통을 들어올리자 꿀벌들이 빽빽하게 모여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옆 또 다른 벌통은 꿀벌을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스탠드업 : 김지우>
“폐사하는 개체가 늘면서
원래는 꿀벌로 가득해야 할 벌통이 이처럼 텅 비어있습니다.”

꿀벌 감소 현상은
최근 몇 년 사이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이 양봉농가의 벌통 수는
3년 전만 해도 300통에 달했지만
현재는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130통만 남았습니다.

<인터뷰 : 석진천 / 양봉농가>
“요즘은 온난화 현상이 일어나서 벌 키우기가 다른 몇 년 전보다 점점 힘들어지니깐. 제가 필요한 건 200통 되는데 나머지는 제가 어디서 벌을 구입해야 될 입장입니다.”


지난해 제주지역 꿀벌 벌통 수는 5만6천여통으로
전년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만통을 웃돌던 4년 전과 비교하면 30% 급감한 규모입니다.



개체수 감소와 함께
꿀벌 사육농가도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해 도내 꿀벌 사육농가는 440여농가로
전년 대비 10%.
4년 전보다 16% 감소했습니다.


기후변화가 꿀벌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 개화 시기 변화로 꿀 생산량이 감소하고
여왕별 가격 상승으로 생산비가 증가하면서
사육을 포기하는 농가도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 강방철 / 한국양봉협회 제주도지회장>
“원래는 육지부로 벌을 팔아야 되는 실정인데 계속 2~3년 사 오다 보니까 생산 원가가 많이 들어가죠. 양봉농가가 상당히 어려움이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질병에 대응해야 되고 양봉 사양 관리 등 변화가 상당히 필요한 시기거든요.”



꿀벌 폐사가 심화되고 있는 만큼
정확한 원인 파악과 함께
지역 양봉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지우입니다.


(영상취재 박병준, 그래픽 송상윤)
기자사진
김지우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