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최근 중국인들의 강력 범죄가 잇따르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찰의 외사 기능은 축소됐고
경찰 인력도 부족한 실정이어서
급증하는 외국인 범죄에 대응할 치안 대책이 시급해 보입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지난 24일,
제주시내 호텔 객실에서
30대 중국인 남성 피살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피의자 4명은
모두 중국인으로
가상화폐 환전 과정에서
빚어진 살인 사건이었습니다.
불과 한달 전에도 같은 호텔에서
가상화폐 환전 시비로
30대 중국인을 폭행한 불법체류 중국인 6명이 체포됐습니다.
가상화폐와 억대 현금이 오가는 과정에서
중국인 간 살인과 폭행 등 강력범죄가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씽크:강귀봉/강력계장>
""
최근에는 도민을 상대로 한 범죄도 있었습니다.
유골함을 훔쳐,
200만 달러를 요구한
중국인들이 해외로 달아났습니다.
패륜적인 도굴 범죄에
도민 사회에서도 공분이 커지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중국인 범죄가 도민들을 상대로 벌어지면서 두렵다며
심지어 무사증 제도를
폐지하자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에서 발생한 강력범죄는 해마다 줄고 있는 반면
외국인 강력범죄는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사태로 감소세를 보이던
외국인 범죄는
무사증이 재개된 2022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국적별로는
중국인 피의자가 전체 약 70%로
2위보다 8배 이상 격차를 보이며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강력범죄 뿐 아니라, 개별 여행 패턴으로 바뀌면서
기초질서 위반이나
중화권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중국인 불법 가이드나 운송업도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씽크:범죄예방계장>
"유관기관 대응 공항만 집중 단속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외국인 범죄에 대응할 외사계는 지난해 폐지되면서
각종 첩보나 사전 예방을 위한 외사 기능은 오히려 축소됐습니다.
더구나 제주 경찰 한명이 담당하는
주민 수는 320여 명으로
전국 세번째로 높은데
여기에 더해
해마다 관광객 1천 3백만 명이 찾는 것을 감안하면
현재 인력만으로는
급증하는 치안 수요 대응에 한계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김용원 기자
yy1014@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