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습니다.
5개 지방자치단체가 신청을 마친 가운데
정부는
다음달 중에 특화지역을 선정할 계획입니다.
제주도는 어떤 내용을 담아 신청을 했는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된다면
어떤 변화가 생길지 양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주도가 구상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핵심사업은 크게 3가지.
에너지 저장장치와 차량 전력망 연계, 그리고 수요혁신입니다.
2022년 132회, 2023년 181회,
그리고 지난해 83회에 이르며
해마다 반복되는 출력제어 문제의 대안으로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 도입이 첫 번째 사업입니다.
또 전기자동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이용하는 기술도 이번 신청서에 포함됐습니다.
전기차에 양방향 기술을 적용해
전기값이 비쌀 땐
전기차의 전기를 팔고,
쌀 땐 다시 충전하는 방식입니다.
전기차 운전자가 생산자일수도, 또는 소비자가 될 수 있는 셈입니다.
이와함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시간대별로 수요를 분산시켜
전력 계통의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도 특화사업으로 신청했습니다.
예를 들어
갑작스런 날씨 변화에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경우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체계(DR)와
재생에너지의 남는 전기를
열로 변환해 농업분야에 활용하는 방안(P2H),
물을 전기분해해 그린 수소를 만드는게(P2G)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제주지역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이번에 제출한 사업 추진에 따른 각종 규제 특례가 적용됩니다.
이렇게 되면
반도체나 2차전지 등 미래산업군을 제주로 끌어들일 수 있고
국내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로 주목받게 될 전망입니다.
씽크)문용혁 제주특별자치도 에너지산업과장
ESS(에너지저장장치), V2G(차량-전력망 연계), P2H(열에너지 전환), 그리고 수전해(물 전기분해) 시설들이 있는데, (이번) 분산특화계획에서 제도개선해 줌으로써 기업들이 여기와서 이익을 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주는 방안입니다.
제주도는 예상대로 사업이 진행된다면
2032년까지
2천 900억 규모의 민간 투자유치와
1천 900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고
2035년 탄소중립 목표 실현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씽크)양제윤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장
반드시 특화지역 지정 성공을 통해 분산에너지체제내에서
에너지 민주주의를 실현하면서 2035년에 넷제로를 달성하는데...
제주도는
지난달 제주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를 개소하고
에너지 기관 또는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2022년부터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준비해 왔습니다.
정부가 다음달 중에
특화지역을 최종 지정할 예정인 가운데
그동안
제주도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CTV 뉴스 양상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