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5(mon)  |  고주연
Island Investigations on Club Drugs Last month, a drug trafficking and distribution network involved in selling drugs such as Ecstasy and Ketamine in karaoke bars and foreigner-exclusive clubs in South (경상) Gyeongsang Province was apprehended by the Coast Guard. Amidst a series of drug crimes occurring in clubs and bars nationwide, a similar drug offender has been arrested in Jeju as well. A man in his 30s, identified as Mr. A, who was formerly affiliated with a club, has been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ossessing dozens of Ecstasy pills and consuming them. Jej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has indicted Mr. A on charges of drug possession and consumption, and they have also announced that they are conducting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into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drug consumption with him. Ecstasy, a new type of drug, is known as a "club drug" as it is primarily consumed by young people. It has a hallucinogenic effect that is three times stronger than that of methamphetamine. INTERVIEW Jo Gwang-won / Jeju Office, Korean Society of Drug Abuse Ecstasy is known to produce hallucinogenic effects that can indu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mood. It is indeed a drug that is commonly used by young people. The Jeju Provincial Police Agency has stated that this case is unrelated to clubs, and it is difficult to disclos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case, including the specific charges, as the investigation is still ongoing.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amount of newly identified drugs seized last year was 260 kg, which is more than a tenfold increase compared to two years ago. Among them, the quantity of Ecstasy seizures increased by seven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 the recent arrest of an Ecstasy drug offender in Jeju,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whether the crimes are linked to related industries, as seen in nationwide cases, rather than being isolated incidents of individual crimes. The investigation results regarding any potential spread of crime to associated sec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제주에도 클럽 마약?…경찰 수사 확대 지난 달 경남에 있는 노래주점과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 엑스터시와 케타민 등 마약류를 판매한 판매책과 유통 조직이 해경에 검거됐습니다. 전국적으로 클럽이나 술집에서 마약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유사 마약 사범이 검거됐습니다. 모 클럽 관계자였던 30대 A 씨가 지난 달 엑스터시 수십 정을 소지하고 투약한 혐의로 구속됐습니다. 제주지검은 A 씨를 마약류 소지와 투약 혐의로 구속 기소했고 함께 투약한 이들에 대해서도 보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엑스터시는 필로폰보다 환각 작용이 3배나 큰 신종 마약류로 젊은 층이 주로 투약하면서 일명 클럽용 마약으로도 알려졌습니다. <인터뷰 : 고광언/ 한국마약범죄학회 제주지회장> 엑스터시를 투약하면 환각작용을 일으켜서 기분이 아주 상승되는 효과를 누리는 마약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제주경찰청은 이번 사건은 클럽과는 무관하다면서도 구체적인 혐의점 등은 수사가 진행 중이여서 밝히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관세청이 적발한 신종 마약류는 260kg으로 2년 전보다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이 가운데 엑스터시 적발 물량은 같은 기간 7배나 늘었습니다. 제주에서도 엑스터시 마약 사범이 검거된 가운데 개인의 단순 범죄가 아닌 전국 사례처럼 연관 업종으로 범죄가 퍼졌을지 수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각 제주는
  • Unpaid Wages Top 20B Won
  • Unpaid Wages Top 20B Won A housing complex with approximately 200 units is under construction at this site. Work here has been at a standstill for several months, with only 40% of the project completed. Owing to recent financial hardships, the construction company has been placed into legal management, which has halted all construction work since the previous May. This has affected about 10 carpenters who have not been paid their overdue wages, which amount to tens of millions of won. INTERVIEW Construction Worker I gave up going to my hometown during Chuseok because I didn't receive my wages, and I need to receive some this year to go. At least I'm hanging in there because I'm getting paid from another site I'm working on. Last year, the employment authority received reports of unpaid wages totaling 22.2 billion won, a significant increase of approximately 8 billion won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marks the first time that the figure has surpassed 20 billion won. Notably, the construction industry suffered the most in terms of unpaid wages, with reported figures reaching approximately 8.1 billion won, accounting for almost 40% of the overall losses incurred. In Jeju, particularly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sluggish real estate market, increasing material costs, and rising interest rates have collectively contributed to a surge in wage non-payment damages. In preparation for the Lunar New Year, the province intends to prioritize the disbursement of public construction payments. Collaborating with the Gwangju Regional Employment and Labor Office, they will provide guidance on rights remedies, wage claim guarantee systems, and a range of financial support measures.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resolution, both the province and the Labor Office have drawn attention to the fact that labor inspector guidance and litigation have proven effective in addressing 9 out of 10 cases involving unpaid wages. 체불임금 사상 첫 2백억 원…"설 앞두고 막막" 2백여 세대 규모의 공동주택 건설 현장입니다. 공정률 40%에서 공사는 수개월째 멈춰 있습니다. 시공사가 자금난으로 법정 관리에 들어가면서 지난해 5월부터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현장에서 목수일을 하던 10여 명은 여태껏 밀린 임금 수 천만 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설노동자> 추석 때도 임금 못 받아서 고향 가는 것도 포기했고 올해도 좀 받아야 갈 건데. 그나마 일하고 있는 다른 현장에서 임금이 나오니까 버티고 있어요. 지난해 고용당국에 신고된 임금 체불액은 222억 원으로 전년 보다 약 80억 원 늘며 처음으로 2백억 원을 넘었습니다. 체불임금 피해 근로자는 1년 전보다 35%나 급증했습니다. 특히 건설업 분야의 체불임금 신고액은 81억여 원으로 전체 피해 규모의 40% 육박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부동산 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제주에서도 건설업을 중심으로 임금체불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관급 공사 대금을 설 명절 전에 조기 지급하고 광주지방고용노동청과 협력해 권리구제 절차와 임금채권 보장 제도 그리고 각종 자금 지원책 등을 안내할 계획입니다. 제주도와 노동청은 체불 임금 사건 10건 중 9건은 근로감독관 현장 지도와 소송 등으로 해결이 가능하다며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습니다.
  • 2024.02.05(mon)  |  이현
  • Jeju Hires 158 'Sea Guardians'
  • Jeju City is hiring 158 "Sea Environment Guardians" for the collection and disposal of marine waste. Anyone who is at least 19 years old and resides in Jeju City can apply for these positions at the local district residents' center (읍면동 주민센터) of their preferred working area until the 8th of the coming month. Selected candidates will be involved in marine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as well as educating and preventing littering from March to the end of October. 제주시, 바다환경 지킴이 158명 채용 제주시가 해양쓰레기 수거와 처리를 위해 바다환경 지킴이 158명을 채용합니다. 제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살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하며 오는 8일까지 희망 근무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됩니다. 대상자로 선발되면 오는 3월부터 10월 말까지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와 투기 방지와 계도 역할을 하게 됩니다.
  • 2024.02.01(thur)  |  이현
  • Jeju Manages Holiday Waste Disposal
  • The province is implementing a plan for the disposal of household waste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As more waste is expected during the 9th to the 12th, the province is expanding its workforce and cleaning vehicle operations to handle the increased waste. During this period, the cleaning vehicles will operate normally, but on the day of the Lunar New Year (the 10th), waste collection will only occur from 10:00 PM the previous day until 5:30 AM on the day itself. Additionally, from the 5th to the 7th, there will be a pre-inspection of food waste disposal systems, and a mobile repair team will be in operation to address any issues to ensure a smooth waste disposal process. 설 연휴 쓰레기 정상 수거…인력·차량 확대 운영 제주특별자치도가 설 연휴에 생활폐기물 처리대책을 추진합니다. 연휴기간인 9일부터 12일까지 평소보다 많은 쓰레기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인력과 청소차량을 확대 운영합니다. 연휴 기간에 청소차량은 정상 운영하되 명절 당일인 10일에만 전날 오후 10시부터 당일 오전 5시 30분까지 수거합니다. 또 5일부터 7일까지 명절 전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사전 점검을 진행하고 고장 수리 기동반을 운영해 처리에 불편이 없도록 조치할 계획입니다
  • 2024.02.01(thur)  |  이현
  • 37 Bil Won for Gangjeong Ecopark
  • The province plans to invest 37 billion won by the year 2026 to create a wetland ecological park with amenities including waterfront parks in the Gangjeong Village area. This area has been rich in rivers and springs, historically providing essential water resources to the local residents. However, long term neglect has been leading to accelerated environmental degradation due to factors such as increased pesticide usage and a decrease in biodiversity. Through this project, the province aims to conserve native species and enhance biodiversity whil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cological education and leisure activities in the form of ecological experience and learning spaces. 2026년까지 강정 습지생태공원 조성 추진 제주특별자치도가 강정마을 일대에 오는 2026년까지 사업비 370억 원을 투자해 수변공원 등을 갖춘 습지생태공원을 조성합니다. 해당 지역은 하천.용천수가 풍부해 예부터 마을주민에게 생명수를 제공해 왔으나 오랜기간 방치되고 농약 사용량 증가 등으로 동식물 개체수가 감소하는 등 파괴가 가속화되고 있는 곳입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고유의 생물종 보존과 다양성을 높이고 생태체험 학습장과 여가공간으로 활용할 계힉입니다.
  • 2024.02.01(thur)  |  이현
  • Public Housing Rent Fee Frozen
  • The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has decided to freeze the rent for public rental housing. Since starting the public rental housing project in 2006, this marks the fifth consecutive year without any rent increase, with the only previous increase occurring in 2019. The corporation explained that this decision was made due to the recent rise in prices and a weakening domestic economy, which have continued amid an economic downturn. Currently, the Jeju Development Corporation is providing public rental housing in over 1,300 units. 제주개발공사, 5년 연속 공공주택 임대료 동결 제주개발공사가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임대료를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2006년부터 공공임대주택 사업을 시작한 이래 2019년에 단 한차례의 임대료 인상 이후 5년째 동결 조치입니다. 최근 물가 상승과 내수 경기 악화 등 경기불황이 지속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고 개발공사는 설명했습니다. 현재 개발공사에서 공급중인 공공임대주택은 1천 300여호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24.02.01(thur)  |  이현
  • More Registered Pets, Fewer Stray Animals
  • The registration of pets in the Jeju reg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while the occurrence of stray animals has been decreasing. According to the province, the number of newly registered pets last year was 8,100, and the cumulative total has reached over 61,000. This accounts for approximately 64% of the estimated total of 95,000 pets in the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stray animals in the region last year was 4,400, showing a 42% decrease compared to 2019. Jeju Island has been expanding its program for neutering and spaying outdoor dogs,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2019 a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country, and has been showing positive effects since then. 제주 반려동물 등록 꾸준히 늘어…유기는 감소세 제주지역 반려동물 등록은 꾸준히 늘고 유기동물 발생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반려동물은 8천 100마리로 누적으로는 6만 1천여마리에 이르고 있습니다. 전체 반려동물 9만 5천여마리의 64%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반면 지난해 도내 유기동물 발생 건수는 4천 400여 마리로 2019년에 비해 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2019년 전국 최초로 도입한 읍면지역 마당개 중성화 사업을 지난해부터 동 지역으로 확대하면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2024.02.01(thur)  |  이현
  • Jeju Records Lowest Salary and Income
  •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workers in the Jeju region was reported to be the lowest in the n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 year-end income tax filing statistics for the year 2022, the average total salary per person for workers in Jeju Island was 35.7 million won, which was the lowest in the nation.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annual salary for the top 0.1% of income earners in the region was approximately 1.06 billion won, ranking second highest after Seoul, which recorded about 1.38 billion won. Furthermore, there was an income gap of 11 times between the top 20% and the bottom 20% of income earners in the region. 제주 근로자 평균 연봉 3,570만원 '전국 최하위' 제주지역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세청의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제주도내 근로자 1인당 총급여액은 3천570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반면 도내 근로소득 상위 0.1%의 평균 연봉은 10억 600여만 원으로 13억 8천여만 원을 기록한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아울러 도내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는 11배의 소득 격차를 보였습니다.
  • 2024.02.01(thur)  |  이현
  • Seogwipo City Raises Childbirth Voucher Support
  • The support amount for the first childbirth voucher given to families has been increased. Seogwipo City announced that starting from this month, the first child will receive 2 million won, and for the second child and beyond, it will be increased to 3 million won, and this expansion is being offered nationwide. Since last year, the first childbirth voucher has been consistently provided at a uniform rate of 2 million won, regardless of birth order. Applications can be made for the first childbirth voucher at your child's resident registration address or through the government's online portal, gov.kr. 둘째부터 300만원…첫만남 이용권 지원액 인상 출산 가정에 지급되는 첫만남 이용권 지원액이 인상됩니다. 서귀포시는 첫만남 이용권이 이달부터 첫째아 200만원, 둘째아 이상은 300만원으로 전국적으로 확대 지급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부터 시행된 첫만남 이용권은 출생 순위와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200만원씩 균등하게 지급돼 왔습니다. 첫만남 이용권은 아동의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주민센터, 복지로 또는 정부24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024.01.29(mon)  |  이현
  • Disability Pension Rises to 424,810 Won
  • This year, a maximum monthly disability pension of 424,810 won is being offered . Reflecting last year's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of 3.6%, it saw an increase by approximately 21,000 won. Under the Disability Pension Act, among severely disabled individuals, if the combined income of themselves and their spouse is below the threshold, they are eligible to receive a monthly pension as part of the security program. Anyone can apply for disability pension regardless of your place of residence, either at local community centers or online. In the case of Jeju City, as of the end of last year, there were over 3,500 recipients of disability pensions. 올해 장애인 연금 월 최대 42만 4천 원대 올해 장애인 연금으로 월 최대 42만 4천 810원이 지급됩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3.6%를 반영해 2만 1천 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장애인연금법상 중증 장애인 가운데 본인과 배우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액 이하이면 매월 급여액을 받을 수 있는 소득보장제도입니다. 장애인 연금 신청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는 물론 온라인으로도 가능합니다. 제주시 지역의 경우 지난 연말 기준으로 장애인연금 수급자는 3천 500여 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 2024.01.29(mon)  |  이현
위로가기
실시간 많이 본 뉴스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