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목) | 문수희
제주도의 그린수소 정책이
최근 이렇다할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규모 실증사업은 좌초 또는 축소됐고
충전소 확충이나
모빌리티 보급도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경제성 확보도 난관에 봉착하고 있습니다.
문수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구좌읍 행원에 이은
두 번째 그린수소 생산 실증 사업은 조천읍 북촌리에서 추진됩니다.
현재 인허가 절차 단계로 내년 상반기 착공 예정입니다.
<브릿지 : 문수희>
"북촌에 들어설 그린수소 생산 시설은
원래 계획보다 규모가 축소된데다
이런저런 이유로 시기도 늦어졌습니다."
해당 사업은 지난 2022년, 12.5MW 규모로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예산이 제때 조달되지 못하고
장소가
동복에서 북촌으로 옮겨지면서
시간이 지체되는 동안 규모가 10.9MW로 축소됐습니다.
대규모 생산 시설 추진이 잇따라 무산되거나 축소되면서
제주도가 2030년까지
그린수소 50MW 생산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비전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생산 시설 만이 아닙니다.
충전소는 함덕 시설 외에 갖춰진 게 없고
버스나 청소차 등
수소 모빌리티 확충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이처럼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경제성 확보도 난관에 봉착하고 있습니다.
적자 부담을 안고 시작한 그린수소 판매도
벌써 1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제주보다 앞서 수소 생태계 구축을 시도했던
유럽 국가 중 상당수가
경제성을 문제로 사업을 폐기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전력시장 개혁 없이는
그린수소 전환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유럽에서 실험적으로 작은 철도나 버스에 (수소 도입을) 시도했었는데 그 사업도 다 폐기를 했습니다.
(현재 한국의) 낙후된 전력 제도 때문에 더 좋은 요금제, 기술이 들어올 수 없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생산과 충전, 모빌리티까지
모든 단계에서 더딘 진척을 보이고 있는 제주 그린수소 정책.
비전만 앞세운 채
현실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공허한 약속에 그칠 수밖에 없습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용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