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TV는 지난주 전자출입명부인 제주안심코드에서 방문 장소를 조작할 수 있다는 문제를 집중 보도했는데요,
그런데 이 같은 문제가 도의회에서 이미 제기됐었고 원희룡 지사도 대비하도록 지시했지만 어찌된 일인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열방센터 의혹이 터져서야 제주도가 뒤늦게 기능 보완에 나설 계획이지만 이 작업에 두달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돼 늑장 대처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보도에 조승원 기자입니다.
약 두달 전 열린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회의.
제주안심코드 민간위탁 동의안이 상정됐습니다.
최근 BTJ 열방센터로 인해 불거진 안심코드 악용 의혹이 당시 회의에서도 제기됐습니다.
<홍명환 / 제주도의회 의원 (작년 11월 23일)>
"목적 외 사용이 가능하다. 악용될 수 있다는 거죠. 기술적으로. 제가 서울에 있으면서 QR코드를 찍어서 서울에 있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는 거 아니에요.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다."
민간위탁 동의안은 결국 심사 보류됐다가 다음 회의에서야 통과됐습니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도 원희룡 지사는 안심코드 악용에 대한 가능성을 예견했습니다.
원 지사는 안심코드에서 발행되는 QR코드를 임의로 복사해 다른지역에서 사용하면 동선 파악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며 안심코드가 가진 기술적 한계를 내다본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달 안심코드가 출시되고 제주도가 집중 홍보하는 지금까지도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안심코드 관리 운영 업무가 민간 업체에 넘어가지 않은 상황이어서 제주도 자체적으로 개선할 여건도 부족한 실정입니다.
제주도는 이르면 이번주 안에 위탁계약을 체결해 기능 개선에 착수한다는 계획입니다.
<임태봉 /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 통제관>
"민간위탁이 되면 즉시 시행하도록 하고, (기능 개선에) 2개월 여 걸리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최대한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개선 작업에 두달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은 악용에 대한 우려를 털어내지 못한 채 안심코드를 운영해야 하는 상황.
문제가 예견됐음에도 그동안 손 놓고 있었다는 점에서 제주도는 늑장 대처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KCTV뉴스 조승원입니다.
조승원 기자
jone100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