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포커스] 폭주하는 배달앱, 휘청이는 자영업자
변미루 기자  |  bmr@kctvjeju.com
|  2021.10.06 10:30
영상닫기
<변미루 기자>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우리들의 일상이 된 게 있습니다. 바로 클릭 몇 번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배달앱인데요. 그런데 자영업자들에게 이 배달앱이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겠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배달 영업으로 전환한 치킨집입니다.

전체 주문의 90% 이상을 배달앱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불경기에 매출이 반 토막인데 배달앱 수수료와 광고비까지 부담이 산더미입니다.

<김영남 / 상인>
"배달료도 지금 퀵 대행료가 올랐잖아. 너무 많이 나가니까 문제인데 그렇다고 안 할 수는 없잖아."

1만 7천 원짜리 치킨 한 마리를 배달하려면 배달앱 수수료가 1100원, 배달료 2500원, 본사 할인행사 분담금이 1000원 붙습니다.

벌써 판매액의 27%가 빠져나가는 겁니다.

여기에 원가, 임대료, 인건비까지 빼고 나면 하루 장사가 휘청거린다고 말합니다.

<김영남 / 상인>
"닭 한 마리 팔아서 한 2천 원, 2천 500원 남나?"

코로나로 상권이 죽자 대세를 따라 배달앱을 시작했다는 고깃집.

배달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른바 '깃발 꽂기'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깃발 꽂기란 업주가 원하는 지점을 찍으면 반경 3km 내에 있는 소비자에게 상호가 노출되는 광고 서비스로 한 달에 8만 8천 원씩 내야 합니다.

깃발을 많이 꽂으면 꽂을수록 장사에 유리하지만 문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겁니다.

<신진우 / 상인>
"저희가 원래 깃발 10개를 꽂았었어요. 그러면 88만 원이거든요. 그런데 광고가 들어간 만큼 수익 구조가 나오지 않고 있어요. 그러면 저희가 오히려 손해를 보고 있다는 거죠."

판매자와 소비자, 그리고 배달원을 연결하는 역할인 민간 플랫폼 배달앱.

출시한 지 10년 만에 전체 요식업 시장 매출의 4분의 1을 차지할 만큼 급성장했습니다.

배달시장의 유연성과 편리성을 높였지만 사실상 유통과정이 한 단계 더 추가되면서 자영업자들은 최대 18%의 수수료를 더 내야 하는 구조가 됐습니다.

한 달 전 커피전문점을 개업한 김규령씨에게도 배달앱은 피할 수 없는 선택지였습니다.

신생 업체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몰리는 배달시장을 외면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소 주문 금액 8천 원, 그러니까 음료 2잔 배달하는데도 수익의 13%가 꼬박꼬박 빠져나갑니다.

수익이 불안정할수록, 영세할수록 더 크게 휘둘리는 겁니다.

<김규령 / 상인>
"단가가 싸잖아요. 카페 같은 경우는 3천 원이고, 그런데 다른 음식점이나 술집은 기본 단가가 좀 높으니까 아무래도 거기에서 두세 번이면 이제 광고료가 이제 다 부담될 것을, 저는 몇 번은 계속 해야죠."

실제 한 조사에서 배달앱 입점 업체의 63%가 수수료, 광고비가 과도하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렇다고 배달앱을 거부하거나 탈퇴하긴 어렵습니다.

매출의 절반 이상 앱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봉택 / 상인>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그렇게 하는 거지 뭐. 부담되더라도 다른 데서는 다 그렇게 하는데 우리만 안 할 수도 없고."

결국 자영업자들이 수수료 폭탄을 끌어안거나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최소한의 수수료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양재혁 / 한국외식업중앙회 제주도지회 사무국장>
"자영업자들이 마이너스 되면서 영업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러다보면 소비자들한테도 부담은 자연스럽게 음식 가격이 올라가고. 규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게 플랫폼 회사는 가만히 앉아서 소비자, 자영업자들한테 자연스럽게 가져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또 다른 대안으로 지자체의 공공 배달앱도 떠오르고 있습니다.

과도한 수수료와 광고비를 대폭 낮춘다는 취지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4곳이 공공 배달앱을 출시했습니다.

수수료를 1%까지 낮춘 경기도의 배달특급은 회원 수가 53만 명에 달하는 성공 사례로 꼽힙니다.

다만 지자체 예산이 투입되는 공공 배달앱의 지속 가능성을 어떻게 확보할지는 과제입니다.

제주에서도 지난해부터 공공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도입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습니다.

<강성민 / 제주도의회 의원>
"특정 민간업체가 나서서 독점하는 이런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데 행정 차원에서 일정 정도 나서서 민과 관이 함께 중개 수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 그게 지역의 공공 앱 개발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코로나라는 날개를 달고 폭풍 성장을 이어온 배달앱.

그리고 그 플랫폼에 오히려 종속되고 있는 자영업자들.

<변미루 기자>
“앞으로도 배달시장의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주하는 배달앱과 자영업자들의 상생 방안을 찾는 일, 지금 비대면 시대가 우리 사회에 던지고 있는 과제입니다. 카메라포커스입니다.”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
    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