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농사 이런 일 처음"…벌마늘 피해 '울상'
허은진 기자  |  dean@kctvjeju.com
|  2024.05.12 14:30
영상닫기
마늘이 본격적인 수확기를 맞았지만 마늘 생장이 멈추지 않는 이른바 '벌마늘'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상 기후 탓인데, 정부로부터 농업재해로 인정됐지만 농민들의 상실감은 큽니다.

보도에 허은진 기자입니다.

서귀포시 대정읍 한 마늘밭입니다.
건조를 위해 가지런히 널어 놓은 마늘을 살펴봤더니 제대로 자란 마늘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마늘쪽에서 새싹이 자라 여러갈래로 나눠져 상품성이 없는 벌마늘이 대부분입니다.

2~3월 마늘이 생장하는 시기 잦은 비와 일조량 부족, 평년보다 높은 기온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제주도가 지난달 표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은 벌마늘 발생률이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평년과 비교해 10배 넘는 수치입니다.

더욱이 표본조사 이후에도 잦은 비 날씨가 이어진 탓에 실제 피해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실제 이 마늘밭에서만 80%가 벌마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는 등
주산지인 대정읍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는 불어나고 있습니다.

그나마 벌마늘 피해가 최근 농업재해로 인정돼 보상받을 길이 트이긴 했지만
농민들의 상실감은 큽니다.

<김대승 / 전국마늘생산자협회 제주도지부 안덕지회장>
"40년 농사를 지었는데 올해같이 마늘이 안 된 해가 없습니다. 최악입니다. 농민들 비룟값, 농약값 전부 빚지게 됐습니다.
이렇게 다시 또 이런 현상이 일어날 걸로 생각을 해서 올해 농민들에게 좀 도움을 더…."


고령화로 인한 재배면적 감소와 고질적인 인력난, 여기에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까지 더해지며
제주 마늘 농가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KCTV뉴스 허은진입니다.
기자사진
허은진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