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항포구 "안전대책 시급" 한 목소리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25.08.07 14:46
영상닫기
         KCTV가 기획 보도한
항포구 다이빙 안전 사고 문제가
도의회 안건심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졌습니다.

도의회는
미흡한 점들을 잇따라 지적하면서
항포구 물놀이 관련 안전대책을
근본적으로 재수립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올해 제주 물놀이 익수사고는 6건.

이 가운데 5명이 숨졌고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사고의 약 70%는
안전요원이 없거나 시설이 부족한 항포구에서 일어났습니다.

특히 지난 달 말에는 이틀 동안 3명이 숨졌습니다.

KCTV 보도 이후
항포구 물놀이 사고 위험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현장 점검까지 마친 도의회는
이튿날 안건 심사에서
취약한 항포구 안전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습니다.

무엇보다 물놀이객 대다수가
수심이나 바다 지형 등을 알지 못한 채
다이빙을 하다 사고가 나는 사례가 많다며
최소한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홍인숙/제주도의회 의원>
"위에서 봤을 때 위험성을 잘 모릅니다. 수심이나 바다 지형이 어떻게 돼 있는지 모르는데 바다 수심이나 지형에 따른 안내가 필요하지
않을까"


<조상범/ 제주특별자치도 안전건강실장>
"수심이 깊어 여러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요원을 교육시키고 충분히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항포구 안전요원 운영도 주먹구구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잇따른 사고에도 포구 안전요원 배치 근거가 없어
인력 운영이 어려운 점,
그리고 안전요원 추가 인건비가
2차 추경이 되도록
증액되지 않은 점 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임정은 제주도의회 의원>
"안전요원 배치 기준을 좀 어느 정도 만들어서 여름철 물놀이 사고 대비를 해야 하지 않겠나."


<강하영 제주도의회 의원>
"사후에 편성하는 게 아니라 사전에 미리 편성해야 하는데 이제 와서 편성한 부분에 대해 아쉬움이 있습니다."


항포구 실태조사를 통해
어촌어항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물놀이 제한 등을
규제 또는 허용하자는 제안에 제주도는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성의 제주도의회 의원>
"제주는 사면이 바다이지 않습니까? 안전과 관련해서 어떤 형태까지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되는데 가급적이면 물놀이 가능구역을 명확하게 하고 그 외에는


물놀이를 못 하는 구역으로 정리해야 되는 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항포구 안전 문제가 공론화되고
도의회도
사고 위험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나타낸 가운데

제주도는
정부와 제도 개선 방안을 협의하고
해경, 마을 단체 등이 참여하는
실질적인 대책과 단속 기준 등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용민 / 화면제공 제주도의회 유튜브)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