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km 밀입국 "아무도 몰랐다"…신고 없었다면?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25.09.11 17:16
영상닫기
         460km 떨어진 중국에서
제주까지 밀입국선이 들어온 사건과 관련해
해상 경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격자가 신고하기 까지
밀입국과 관련해 군경 모두 사건을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지난 2023년 보령으로 밀입국을 시도했던 선박이 적발됐습니다.

열상 감시장비에 선체 등이 감지되면서
초동 조치가 가능했고
해경은 당시 중국인 22명 전원을 검거했습니다.

제주에도
제주 해안 250km 사면에
열상 감시장비 40여 대가 24시간 가동 중입니다.

제주 해안 약 20킬로미터까지 식별이 가능합니다.

군이 관리하는 다른지역과 달리
제주는
제주경찰청 해안경비단이
열상 감시장비를 운용 중이며
250억 원 규모의 경계시스템이 구축됐습니다.

하지만,
지난 8일 새벽 제주로 온 밀입국 고무보트를
처음 발견한 건
산책을 나온 마을 주민이었습니다.

<스탠딩:김용원기자>
"고무 보트가 제주에 도착한 이후 2시간 지나
목격자가 신고하기 까지
군경은 관련 사실을 아무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제주까지 460km 를 항해하는 동안
밀입국 보트는
한중 잠정 조치 수역부터
우리측 관할 해역을 모두 통과했습니다.

보트는
위치발신장치가 없었고
야간에도 라이트를 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무엇보다
보트가 금속 자재가 아니었기 때문에
레이더 감시망에도 잡히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시간 위성 촬영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불법 조업 단속 등을 위해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해군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레이더 관련 탐지 여부나 관할 해역 여부 등에 대해
기록 열람을 이유로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먼바다에서부터 제주 앞바다까지
수백 킬로미터를 보트가 이동하는 동안
첨단 장비는 무용지물이었고,
사실상 어선 또는 목격자 신고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밀입국 시도가
처음이 아닐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는 이유입니다.

해상 경계 시스템이나 작전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한편 지난 2020년 태안에선
밀입국 사건 관련 부실한 대응이 드러나면서
관련 기관장이 경질됐습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용민)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