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는
건강주치의 제도가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초 기대와 달리 참여율은 저조합니다.
정책의 실효성을 위해
지원센터 기능과
서비스 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문수희 기자입니다.
주민이 원하는 의사를 주치의로 지정해
꾸준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건강주치의 제도.
제주시 삼도동과 애월, 구좌 등
7개 지역에서
12살 이하 어린이와
65살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관은 16곳,
의사는 19명이 등록돼 있습니다.
전국에서 처음 도입되며 주목을 끌었지만
참여도는 저조한 상황입니다.
시범 지역 대상자는 4만 4천 명.
제주도는
올해 시범 사업을 설계하면서
대략 6천 명이 등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기준
실제 등록 인원은 2천 명에 그치고 있습니다.
주치의 제도가 막 도입된 시점에
독감이 유행하며
의료기관들이 환자 등록에 신경 쓰기 어려웠던 점,
그리고 지원센터의 역할과 업무 분장이
아직 갖춰지지 않은 점도
참여 저조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고병수 건강주치의 참여 의사>
“지원센터를 빨리 자리 잡게 해야 내년에 잘 돌아갈 수 있고 현장에서 예상되는 행정적 어려움과 환자 교육 때 사용할 자료가 아직은 준비가 안됐다..."
제도의 핵심인 의료 서비스 제공은
사실상 이뤄지지 못한 채
현재 모든 행정력이 '등록'에만 집중돼 있는 것도 문제로 꼽힙니다.
<인터뷰 : 강성의 제주도의회 의원>
"어떻게 하면 체계적으로 관리할 지 관리 기관의 노하우나 이런 것이 지금은 시행 초기라서 애로사항이 있을 것 같고요. 보완하다보면 좀 더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전국 첫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건강주치의 제도.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 시스템 정비와
현장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KCTV 뉴스 문수희입니다.
문수희 기자
suheemun43@kctv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