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 극한 날씨 변수"…대설 예보 강화
김용원 기자  |  yy1014@kctvjeju.com
|  2025.11.25 15:39
영상닫기
         기상청이 올 겨울 기상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제주는 높아진 해수면 온도 그리고 북극 해빙 면적에
따라 극한 기후 여건이 만들어 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더웠다가 추웠다가 기온 변동폭이 클 거란 설명입니다.

김용원 기자입니다.
지난 13일, 수능일은
낮 기온이 23도까지 오르며
우려했던 한파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닷새 뒤 산간이 영하권까지 떨어지며
한라산 정상부에는 첫 눈이 관측되기도 했습니다.

오락 가락 날씨 변화는
겨울철 더 빈번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관측 이래 평년보다 계속 오르고 있는
바다 고수온이 올 겨울에도 이어지고,

북극 해빙 면적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찬공기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면서
날씨가 급변할 수 있는 환경에 놓이게 된 겁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기온 변동 폭이 매우 클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뜨거워진 바다와 차가운 공기 온도 차로 인해
제주 해상에서 강하고 많은 양의 눈구름대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싱크:우진규 기상청 대변인실 기상사무관>
"사실 변동폭이 크다, 변화폭이 크다라고 전제를 달고 있는 이유가
극한 상황으로 가고 있다는 거예요.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고 해빙 면적이 적어져서 한파가 찾아올 수

있는 조건은 잘 됐는데 평균 내면 평년과 비슷한 수준의 겨울이 될 겁니다라고 나갔지만 숨어있는 건 기온이 오를 때면 많이 오를 수 있고 기온이 내려갈 때도 많이 내려갈 수 있다는 조건을 뜻합니다.
"

이에 따라
제주기상청은 새로운 예측시스템을 도입해
겨울철 위험 기상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대설 특보 구역이나 산지는 고도별로
적설량과 눈이 내릴 확률 등을
사전 예보하고 도로 결빙 위험 가능지역도
별도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씽크:임장호 제주지방기상청 예보과장>
"산지에 많은 눈이 오겠다고 하면 110 0도로 제설을 준비해야 하는 건지 516 도로를 준비해야 하는 건지 판단이 안 선다. 그래서 그런 정보들을
방재나 도로교통 안전

차원에서 제주기상청에서 올 겨울부터는 상세한 정보를 드리겠습니다."



특히 비닐하우스 붕괴 등을 일으키는 습설,
즉 습기가 많고 무거운 눈에 대한
상세 예보 서비스도 도입하고 적설량 관측 시간도
1시간에서 10분 단위로 세분화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통해 활용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KCTV뉴스 김용원입니다.

(영상취재 김승철)

        
기자사진
김용원 기자
URL복사
프린트하기
로고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뉴스 제보를 기다립니다.
064 · 741 · 7766
제보하기
뉴스제보
종합 리포트 뉴스
뒤로
앞으로
이 시각 제주는
    닫기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로고
    제보전화 064·741·7766 | 팩스 064·741·7729
    • 이름
    • 전화번호
    • 이메일
    • 구분
    • 제목
    • 내용
    • 파일
    제보하기